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와 정치 제2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빈곤계층의 집단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ve Action of the Poor in Contemporary Chin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 22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이 현재 세계에서 빈부격차가 가장 큰 국가군에 속하게 된 가운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국 빈곤계층의 집단행동이 빈부격차에서 비롯된 것으로 상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국 빈곤계층의 집단행동을 촉발시키는 직접적인 주 요인은 빈부격차의 확대가 아닌 절차적 부정 즉 정당하게 받아야 될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의 심각한 빈부격차가 빈곤계층 집단행동 발발의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배경으로 빈부격차와 본인의 현재 생활 및 국가에 대한 빈곤계층의 인식의 측면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빈곤계층의 인식이 점차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만약 중국의 빈부격차 문제가 크게 해소되지 않는다면 향후에는 빈부격차 확대가 빈곤계층의 주요 불만요인이 되어 어떤 식으로든 중국 사회의 안정을 위협할 수 있는 개연성은 작지 않다고 하겠다.

Due to the fact that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in contemporary China, the socialist country, is the largest in the world, there is a tendency to be perceived that the increasing collective action of the poor in China is caused by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But, this study argued that a main factor that causes collective action of the chinese poor is not the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but a grievance against procedural injustice. Poor people in Chinese society want to receive the full compensation that they should receive. This research also pointed out that the reason why the serious gap between rich and poor in China is not the direct cause of collective action of Chinese poor people is because of the comparative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life and the state of the poor, and that the perception of actors in a society is crucial for social actions. But,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at it is observ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poor, 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is gradually changing, if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remains unsolved, there is a good possibility that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will be a direct factor for collective action of the poor, and that so social stability, the first goal of the state leaders in China, will be threatened.

Ⅰ. 서론

Ⅱ. 중국 빈부격차의 현황

Ⅲ. 빈곤계층의 불만요인과 집단행동

Ⅳ. 빈곤계층의 인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