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청 사신과 조선 문인들의 시문 교류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중 19세기 조선을 방문했던 청인(淸人) 백준(柏葰, ?~1859)의 「벽림음관초존(薜箖吟館钞存)」기록을 대상으로 시문 교류 활동을 살펴보았다. 「벽림음관초존」에서 창화시(唱和詩)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총 19수이다. 그중백준이 쓴 것이 11수이고, 조선 문인들이 쓴 시를 부기한 것이 8수이다. 이 가운데는 먼저 증정한 시도 있고 화답하여 지은 작품도 있다. 특징적인 것은 창화시에서 대게 원창(原昌)이라 하면 선창(先唱)을 뜻하지만 여기서는 상대방의 차운시를 의미한다는 점과 기행시의 제목으로 되어 있어 창화시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물별로 살펴보면 압록강을 건너 처음 시 창화를 시작한 조선인은 조병현(趙 秉鉉, 1791~1849)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양적으로는 조병현과 이상적(李尙迪, 1804~1865)과의 시 교환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조병현과 이상적의 시문 교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데에는 그들이 원접사(遠接使), 차비관(差備官) 으로서 조선 측의 관직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사행단을 접대하면서 다른 이들보다 교류가 용이했으리라 짐작된다. 그 다음으로 차비관 이문양(李文養)과 호송사(護送使) 이약우(李若愚) 등 조선 문인들과 교류한 것으로 보이나 교환된 시는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백준이 증여한 시만 남아있다. 이렇게 「벽림음관초존(薜 箖吟館钞存)」기록에는 대부분 원접사와 차비관 사이에서 시 창화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조병현, 이상적과의 시 교환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조 문인들의 창화시는 공동의 의식과 우의들을 잘 보여주었으며, 나아가 양국의 대외 관계를 이어주는 데도 일정한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를 통해 청인과 조선인들의 시문 교류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19세기 청조간의 문화교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동시에 연구의 밑바탕이 될 수 있으리라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exchange of poetry between Cheongsashin and Joseon writers. Among them, poetry exchange activities were examined by examining the records of 「Byeokrimeumgwanchojon(薜箖吟館钞存)」 by Baekjun, a Qing man who visited Joseon in the 19th century. There are a total of 19 poems that can be classified as Changhwa poems in 「Byeoknim Eumgwan Chozone(薜箖吟館钞存)」. Among them, 11 numbers were written by Baekjun, and 8 numbers were supplemented with poems written by Joseon writers. What is characteristic is that in Changhwa poetry, the word ‘wonchang’ (原昌) usually means ‘seonchang (先唱)’, but here it means a poem of the other person’s chaun, and there is also a part taken from the title of a travel poem, so it does not look like a poem of Changhwa. Looking at each character, it seems that Cho Byeong-hyeon was the first Korean who crossed the Yalu River and started singing poetry. Quantitatively, it is confirmed that the exchange of poetry between Cho Byung-hyun and Lee Sang-sang is the largest. The reason why the exchange of poetry between Cho Byung-hyeon and Lee Sang-hyeon took a high proportion was that they held official po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as Wonjeopsa and Deputy Minister, so it is presumed that exchanges were easier than others while hosting the troupe. Next, it seems that he had exchanges with Joseon writers such as Vice Minister Lee Mun-yang (李文養) and Hosongsa (護送使) and Lee Yak-woo (李若愚), but the exchanged poems are not recorded, and only the poems donated by Baek Jun remain.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poetry was sung between Woncheopsa and Bigwan Cha, and the exchange of poetry with Byung-hyeon Cho and Lee Sang-gwan was outstanding. In conclusion, the poetry of Changhwa shown by the Qing dynasty writers well showed the common consciousness and friendship, and further contributed to linking the foreign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by examining the exchange of poetry between the Qing and Joseon people, it will be possible to objectively grasp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Qing Dynasty in the 19th century and to serve as a basis for research.
1. 서론
2. 조선 사행과 「벽림음관초존(薜箖吟館钞存)」의 기록
3. 「벽림음관초존(薜箖吟館钞存)」 창화시와 조선 문인들의 교류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