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민족 종교와 민족 사학을 융합시킨 무원 김교헌론

Theory on Muwon Kim Gyo-heon who converged ethnic religion and ethnic-national histography

이 글은 김교헌이라는 근대 지식인의 인식 변화를, 유교에서 대종교로 옮겨가는 그의 사상적 행적을 통해 살펴본 글이다. 김교헌은 조선조 명문가의 후예로서, 구한말 과거급제를 통해 여러 벼슬을 거쳐 종2품 벼슬까지 오른 인물이다. 이 시기 그의 역사인식은 여타 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체성과 거리가먼 유교적 중화사관의 답습이었다. 그러나 대종교를 경험하면서 인식의 환골탈태를 보여준다. 그의 스승 나철의 ‘국망도존(國亡道存)’의 가르침이 교훈이 되었다. 그러므로 노예의식에서 주인의식으로의 각성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찾아갔으며, 중화주의 역사관을 탈피한 민족주의 역사관을 구현해 갔다. 또한 이렇게 변화된 의식은 일제강점기 독립투쟁의 정신적 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a modern intellectual named Kim Kyo-Heon and his ideological track record of moving from Confucianism to Daejonggyo. Kim Kyo-Heon was a descendant of a prestigious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who served in various government post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rose to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His historical perception during this period, like other Confucian scholars, showed China-centered historical perception that was far from our identity. However, we show a complete change in perception as we experience large religions. His teacher Na-Cheol’s teaching of ‘Even though the country is destroyed, the spirit is still alive(國亡道存)’ became a lesson. Therefore, we found our identity through awakening from slave consciousness to owner’s consciousness, and realized a nationalist view of history that broke away from the Chinese-centered view of history. This changed consciousness also served as the spiritual driving force behind the Japanese colonial era independence movement.

1. 머리말 - 노예의 길

2. 김교헌, 그 질곡의 시대

3. 김교헌, 그 각성의 시대

4. 맺음말 - 주인의 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