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한국어 화상 수업에서의 앱 도구 사용에 관한 파일럿(pilot) 연구

A Pilot Study on the Use of App Tools in Synchronous Video Korean Lectures

간행물 정보
  • 이용수 3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권14호_표지(0727).jpg

키워드

초록

목적 본고는 실시간 교실 접속형 화상 한국어 수업에 한국어 교육용 앱을 활용하는 방법을 시험적으로 적용, 앞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용 앱이 실시간 교실 접속형 화상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리라는 가설을 세우고 서면 인터뷰를 통해 피험자를 선정했다. 실험군은 세 명으로 서로 다른 한국어 수준을 가진 러시아 학생들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스카이프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화상 강의를 하면서 학습자들에게 세종한국어 문법 초급 앱을 사용하게 하였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치러 성취도를 확인했고 개별 인터뷰를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파일럿 연구의 한계점을 검토했다. 결과 실험군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고, 과제 제출 기한도 준수했다. 인터뷰에서도 앱 사용이 매우 만족스럽다, 계속 활용할 것이다, 수업에 몰입도를 높였다 등 유의미한 답변을 제출하였다. 결론 실험 결과 실험군 학습자 모두 화상 수업과 앱 사용을 동시에 진행한다는 데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 연구는 실시간 화상 수업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재,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보완할 블렌디드 러닝의 한 형식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파일럿 연구라는 점은 한계점이다. 따라서 이 모든 자료를 활용한 후속 연구, 본 실험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 method in which a Korean grammar app is applied to “Synchronous Classroom Access Type” video lectures. Synchronous video classes are generally used, but there are many problems as we know. So I chose a method of Blended Learning as a complement to it. However, since the experiment has to be done on a large scale, a pilot study was first conducted in this study. Methods This paper designed a teaching method that applied “Sejong Korean Grammar APP” while taking Skype Business platform classes. For this, First I analyzed the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I made a hypothesis after exploring theories. Thir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nd conducted. The control group submit the Handout task, and the experimental group played the APP game. All students took midterm and final exams and were interviewed. Resul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Conclusion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good results. There were also positive responses from individual interviews. This pilot study suggests that video education and app-using classes can be harmonized. However, this study needs to be modified in many parts because the sampl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smal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의 탐색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실험의 설계 및 연구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