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캡처.PNG
KCI등재 학술저널

해양안전을 위한 사고관리 개선방안

Measures to improve accident management for maritime safety

DOI : 10.56603/jksps.2022.21.1.171
  • 94

해양안전은 많은 부분에서 국민의 생활과 직결된다. 해양에서의 안전과 사고에 대한 다양한 기관들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 ‘관리’를 목적으로 변화를 시도해야 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해양안전과 관련하여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해양이라는 특성과 사고관리를 접목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해양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해양사고 및 연안사고에 대한 관련 기관의 공식 자료를 1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해양사고의 관리 측면에서 요구되는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사고에 관한 통계 및 정보 관리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기관별 협업체계의 개선을 위한 협의체가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민간 영역의 전문성 강화를 통한 단계별 협력체계가 설정되어야 한다. 넷째, 해양안전을 위한 안전진단의 주기적 시행을 제안한다. 다섯째, 해양안전 개선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Maritime safe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of citizens in many parts. Various organizations on safety and accidents in the sea are playing a role, and now is the time to try to change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This study attempts to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in relation to maritime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and accident management. The research method primarily analyzed the official data of related organizations on marine accidents and coastal accidents to identify the threats to marine safety. After that, the improvements required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marine acciden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ata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n maritime accidents. Second, a committee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related organizations. Third, a step-by-step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y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the private sector. Fourth,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implement safety diagnosis for maritime safety. Fifth, an incentive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maritime safety improvement activ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해양안전사고 발생 현황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