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시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체제를 분석함으로써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체제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마을교육공동체 유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시 마을교육공동체의 운영체제를 분석하고 Hoy와 Miskel의 학교사회체제모형을 활용한 분석틀을 적용하여 운영체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A시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체제의 특성을 환경적 특성과 운영적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운영체제의 특성을 바탕으로 A시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체제의 유형을‘풀뿌리-네트워크-조정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에 따른 실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의 기반 마련을 위한 정보 공유가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운영체제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동기, 학습문화, 협의체, 리더십이 조화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의 특성을 계량화하기 보다는 운영체제 안에서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을 위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perating system and to categorize its type through analyzing the system of City “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perating system of City A is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system are drawn by applying an analysis framework utilizing Hoy and Miskel's school social system model fo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perating system.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system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City A are derived a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is categorized based on the derived characteristics from the Pulppuri-Network-Modification. The action plan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suggested that sharing information is preceded to lay a foundation fo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econdly, personal motivation, learning culture, consultative group, and leadership must be harmonized in order to continue the operating system. Thirdly,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intera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within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qua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A시 마을교육공동체의 운영체제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