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교육연구 제4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 교육과정 연구회’ 운영으로 본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Th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Regional History Curriculum Research Association and the Meaning of a Curriculum Expert

2019년 지역 독립운동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 근현대사를 교육하고 싶었던 교사들이 지역 근현대사를 발굴하고 이를 교육 자료로 만들게 되었다. 2020년을 거쳐, 2021년에는 이러한 자료를 교육과정으로 이해하게 되면서, 지역사 교육과정 연구회가 운영되었다. 교사가 개발한 지역사 자료는 지역사 교육과정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현장 요구에 근거하여 2021년 25개 경기도교육청 전체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근현대사 교육 활동에 대한 자료 개발 및 지역사 교육과정을 만들게 되었다. 특히, 지역 교육 자원에 근거한 개별 교사의 실천적 역사과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운영된 연구회 활동이었으며, 이때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지역 근현대사 교육과정 문서화의 동기와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회 운영 사례는 국가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내용이나 기준은 없지만, 교사들이 스스로 교육과정의 설계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의 공백에서 교육과정 전문가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를 만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스스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생산하고, 교육의 방법을 시도하고, 학생의 성장을 그 결과로 성찰하는 이런 과정을 통해 ‘내가 만드는 교육과정’ 경험을 축적하고 있었다. 어떤 내용을, 어떤 시기에, 어떤 방법으로, 무엇을 고려하면서 가르쳐야 하는지가 잘 드러나고 있었다. 이것이 교사의 실천적 교육과정 전문성, 교육과정 역량이라 볼 수 있겠다.

As interest in the history of local independence movement increased in 2019, teachers who wanted to educate local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discovered local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made it into educational materials. In 2021, as these materials were understood as a curriculum, the Regional History Curriculum Research Association was operated. The on-site demand that the local history data developed by the teacher should be recognized as a regional history curriculum was created in 2021 by developing data on local modern history education activities and creating local history curriculum in all 25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a research group activity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ed for practical history and curriculum of individual teachers based on local educational resources, and at this time, the motivation and meaning of documenting local modern history curriculum was investigated. In the case of operation of this study, there are no standards or methods requir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but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design of the curriculum themselv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were creating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ir educational identity as curriculum experts despite the gap in the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themselves are accumulating their “curriculum that I make” experiences through this process of producing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creating methods of education, and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education. It reveals what content, when, how, and what to consider and teach. This can be seen as the teacher's practical curriculum expertise and curriculum competency.

Ⅰ. 들어가며

Ⅱ. 지역사교육의 가능성과 교육과정 전문성

Ⅲ. 지역사 교육과정 연구회 운영 사례분석

Ⅳ. 결론: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의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