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The Use and Potential of Critical Writing in Writing Education

  • 613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jpg

이 연구에서는 쓰기 교육에서 교육적 의미를 확장해 갈 만한 비평적 글쓰기의 새로운 지향을 제안하였다. 비평적 에세이와 패러디 글쓰기, 매체 활용 비평이 그 대안이될 수 있다. 비평적 에세이는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근간으로 하여 정형화된 패턴을벗어나 자유롭게 비평적 쓰기의 전략을 실현하는 폭넓은 쓰기 표현 활동을 의미한다. 패러디 쓰기는 원 텍스트와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여 비판적 사고와 논리를 기초로 타당한 가치와 근거를 들어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매체 활용 비평은 다양한 종류의 매체 텍스트를 통하여 개인의 비평적 표현을 담아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쓰기 교육 현장에서 논리적,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비판적 문식성을 키워 독자와 텍스트 간 더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이 펼쳐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port suggests a new purpose for critical writing that can be applied to writing education. It also proposes alternatives such as critical essay, parody writing, and media writing based on a critical thinking. Critical essays include various writing activities that practice the free strategy of critical writing that involve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Parody writing involves restructing the text so that it reflects both the original text and contemporary culture, which again involve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while, providing reasonable value and evidence. Media writing based on a critical thinking includes individual critical expressions using various kinds of media text. Through these, students can raise their critical literacy through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using various means for readers to activly communicate with the text, and thus contribute to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1. 들어가는 말

2. 비평적 글쓰기의 개념과 관련 연구

3. 교육과정에 제시된 비평적 글쓰기의 내용

4. 비평적 글쓰기의 확장을 위한 글의 유형

5. 나오는 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