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8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네 교사의 눈으로 바라본 외국어고등학교

Four Teachers’ Perspectives of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a Public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연구목적 본 연구는 A공립 외국어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네 교사의 교육 경험을 통해 공립 외고에서의 교육 실천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질적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광역시의 A공립외고를 연구 현장으로 선정하고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참여 의사를 밝힌 교사 4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교과 교육 경험, 담임 경험 등에 관한 참여관찰 자료와 현지자료,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에믹 코딩(emic coding)하여 자료의 패턴을 파악하여 주제화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A외고에서 ‘주도적인 학생들’, ‘새로운 세상의 빗장을 여는 것’, ‘교과서 밖에서의 교육’, ‘고군분투’를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의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A외고에 대해서는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달리’, ‘애착의 대상’, ‘외고 폐지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였다. 결론 A외고에서의 교육 실천 양상을 ‘학생 주도성’, ‘경계를 무너뜨림’, ‘사회적 기능’, ‘개인 선택권 보호’로 주제화하였다. 본 연구는 A외고에 근무하는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외고의 교육 현장을 드러내고, 외고를 둘러싼 내부자와 외부자 간의 입장 차이가 존재함을 밝혀내, 외고에 대한 교육적 담론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represents qualitative research, aimed at revealing educational practices through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four teachers in a public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Methods: Data collected from the four volunteer teachers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included participant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All collected data including participants’ observation data, local data, and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educational experiences as a class teacher and home room teacher, were categorized by identifying patterns through emic coding. Results: Dur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leading students’, ‘opening a new world’, ‘education beyond the textbook’, and ‘struggling up’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From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participants expressed the following sentiments: ‘different from what it seems’, ‘the object of attachment’, and ‘worries about abolition of the school.’ for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were categorized into ‘student agency’, ‘breaking the boundary’, ‘social functions’ and ‘protection of personal choices’. By identifying th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is study reveals different stances taken by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siders and outsiders and signifies the needs for educational discourse 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 경험

Ⅳ. 외고에 대한 인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