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Care Workers in Nursing Home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안전문화연구
- 제17호
- : KCI등재
- 2022.07
- 57 - 69 (13 pages)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은 만성질환, 면역기능의 저하로 감염에 취약하며, 감염성 질환 이환 시 심한 질병상태를 초래하고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어 감염관리는 중요하다. 따라서 노인에게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에게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인식 및 수행에 관한 기초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지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여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양보호사를 위한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C도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 8곳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조사는 2021년 3월 2일부터 7월 15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감염관리 중요성 인지도의 전체 항목 평균은 5점 만점 중 4.13±0.44점이었으며, 감염관리 수행도의 전체 항목 평균은 4.05±0.47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감염 관련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중요성 인지도는 연령(F=3.35, p=.038), 학력(F=4.33, p=.015), 요양시설 규모(F=4.34, p=.01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감염관리 수행도는 요양시설 규모(F=6.85,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염관리 중요성 인지도는 감염관리 수행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92, p<.001),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요양시설 규모, 감염관리 중요성 인지도가 약 85.5%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감염관리 중요성 인지도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β=.90, p<.001). 본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지식교육과 함께 인식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요양시설 관리자의 지도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연령, 학력, 요양시설 규모에 따라 감염관리 인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요양보호사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방법 모색 및 소규모 요양시설을 대상으로 맞춤형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Elderly people in nursing homes typically have multiple conditions that increase their risk for infection, including chronic diseases and depressed immune systems. Infections are common in nursing homes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sident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fore, controlling of infections in nursing homes is an important issue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at can improve infection control for care work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care workers in nursing hom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h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for care workers. Methods :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120 care workers who are employed in 8 nursing hom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March 2 to June 15, 2021.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erformed using SPSS Windows for 22.0 program. Results : The mean scores of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care workers were 4.13±0.44 and 4.05±0.47.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age(F=3.35, p=.038), education level(F=4.33, p=.015) and nursing home size(F=4.34, p=.01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nursing home size(F=6.85, p=.002). Performance of infe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r=.92, p<.001).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nd nursing home size were the primary factors that impacted the care worker’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explaining 85.5% of the variance. Particularly,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was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β=.90, p<.001). Conclusion :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was the major factor that impact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bout infection control.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