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생활화(KSD)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ponse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안전문화연구
- 제17호
- : KCI등재
- 2022.07
- 97 - 115 (19 pages)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학교생활화(KSD) 그림을 통하여 반응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부산광역시 내에 위치한 초등학교 다문화아동 130명과 일반아동 130명이다. 연구자료로는 2012년~2019년 사이 연구자의 수련과정의 문화생과 초등학교전문상담사와 담당교사의 도움을 받아 그림을 수집하였다가 2020년 추가로 충원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미술치료의 진단도구인 학교생활화(KSD)그림을 통해 학교생활의 만족도와 친구들과의 적응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학교생활화(KSD) 반응특성으로는 다문화아동이 일반아동보다 ‘가학성’, ‘비학업적’, ‘피학적’이 많이 표현되었고 다문화 남자아동이 여자아동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여자아동이 ‘자기애’와 가장 상호작용하는 자기상을 나타냈다. 둘째, 질문지 반응특성은 일반여자아동이 선생님과의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문화 남자아동이 가장 낮았다. 셋째,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생활을 비교분석한 결과 만족도는 일반여자아동이 가장 높고 친구와의 관계는 일반남자아동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일반남여아동이 다문화남여아동에 비해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 학교생활화가 아동의 학교생활에서 오는 적응정도와 심리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일선교사들에게 참고지침이 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기초로 하여 학년별 발달단계에 따른 비교분석과 객관적으로 분석 비교할 수 있는 규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KSD pic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ulticultural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30 multicultural children and 130 gener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s for the research data, paintings were collected with the help of cultura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researcher's training course between 2012 and 2019, and additional recruitment was collected in 2020. As for the measurement tool,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adaptation with friends were examined through KSD, a diagnostic tool for art therapy.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multicultural children expressed "sadiology", "non-academic", and "physiology" more than gene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boys showed higher self-image than girls, and general girls showed the most interaction with "self-love". Second, as for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naire, general female children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ir teachers in school, and multicultural male children had the lowest.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general female children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general male children ha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refore, general male and female children had higher overall satisfaction than multicultural male and female childre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KSD is a useful tool to identify children's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problems from school life, and it will be a reference guide for teachers.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research on standards that can objectively analyze and compare compariso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each grade will be need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