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횡단인문학 제11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천황의 자살과 무사의 자살

The Japanese Emperor's Suicide and the Samurai's Suicide

DOI : 10.37123/th.2022.11.111
  • 34

본 논문은 고대말 단노우라(壇の浦) 전투에서 벌어진 헤이케(平家) 일가 집단자살이중세와 근세 문학작품 속에 어떻게 수용, 변질되었는지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서 니이노아마(二位の尼)와 도모모리(知盛)는 집단자살을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자살을 조장하는 인물들의 존재, 죽음이 두려워자살하지 못하는 무네모리(宗盛) 부자와 이를 비난하는 시선의 존재는 헤이케 일가의 자살이 전형적인 이타적 자살임을 상징한다. 어린 안토쿠(安徳) 천황과 보검과 함께 바다 속으로 입수한 니이노아마는 사세가(辞 世歌)를 남기는데, 사세가에서 안토쿠 천황의 죽음은 부하들의 호위를 받으며 바다 속용궁으로 떠나는 군주의 행차로 변질된다. 사세가는 안토쿠 천황에게서 자살을 소거하고 있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도모모리는 패장의 명예로운 죽음, 즉 부하들과 함께 자결하는 모습을 연출하여 보여준다. 한편, 노(能)는 노리쓰네(教経), 노리모리(教盛), 쓰네모리(経盛)의 이미지를 흡수하면서 새로운 도모모리 인물조형을 만든다. 복수와 가문의재건을 중심으로 창작된 가부키(歌舞伎) 속 도모모리의 경우, 집단 자살이라는 소재는사라지지만 닻을 머리에 이고 죽는 결연한 죽음의 이미지만은 강하게 살아남아 계승된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ass suicide of the Heike family in the Battle of Dannoura at the end of ancient times was accepted and altered in medieval and modern literature. The mass suicide of the Heike family, pictured in Heikemonogatari, is not a suicide of their own choosing, but rather a suicide that took place in an atmosphere of insistence on suicide. The presence of a gaze that condemns Munemori, who is unable to act out of fear of death, symbolizes that the suicide of the Heike family is a typical altruistic suicide. Niinoama committed suicide by jumping into the sea with a sword while holding the young emperor. In particular, her songs express death as a journey. Her Sasega transforms the death of Emperor Antoku into a voyage of allegiance to her subordinates, escorted by her subordinates, who depart for the Dragon Palace at sea. The suicide of the Emperor, who disappeared into the Dannoura waves, is transformed into a new narrative. Tomomori commits an honorable suicide with his subordinates. Tomomori's remarks show the attitude that a general should take when he loses a fight. In Noh, Tomomori absorbed the images of Noritsune, Norimori, and Tsunemori. Tomomori's image as the epitome of Samurai continued in Kabuki.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