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K-MOOC를 활용한 인문학 수업에서의 시스템 품질, 자기효능감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Quality,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Humanities Class using K-MOOC: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 138
횡단인문학 제11호.jpg

최근 현대 사회에서의 삶에 대한 이해와 바람직함을 추구하는 바람이 불면서, 인문학 및 타 분야의 융복합된 온라인 과목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K-MOOC를 기반으로 진행된 인문학 수업에 대해 시스템 품질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요약한다. 첫째, 시스템 품질과 지각된 유용성, 자기효능감, 온라인 수업 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시스템 품질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의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시스템 품질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시스템 품질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지각된 유용성에 의해 조절되어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K-MOOC를 비롯한 온라인을활용하는 인문학 수업에서 교수자와 교육기관이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 대한 유의미한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interest in the Humanities is increasing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using online by pursuing understanding and desirability of lif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mediation impact on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on satisfaction is moderated by perceived usefulness in Humanities class using K-MOO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quality and self-efficacy, (2)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quality and satisfaction, and (3)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was moderated by the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ystem quality affecting th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significant implications on what factors faculty and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hould consider in Humanities class using an online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