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남성 중심의 트라우마 이론에 의하면 트라우마는 2001년 9/11 테러, 홀로코스트, 세계 대전 등 대재앙적, 예외적인 사건들로 정의되고, 이러한 모델에 근거하여 서구권 국가의 백인 계층 피해자들에게만 관심이 모아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의 서구 남성 중심의 트라우마 이론이 비서구권 국가의 구성원들 및 다양한 소수 집단의 만성화/일상화된 폭력, 억압, 갈등, 착취 등의 개인적, 집단적 트라우마경험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기존의 트라우마 모델을 소개하고 이 모델의 한계와 문제를 고찰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을 반영한 최신 트라우마 이론을 소개하고 이것이 기존 트라우마 이론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다면화/다각화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 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ost literary trauma scholars have depended exclusively on the psychological theory of trauma, which was developed by Freud, and have interpreted trauma, from a homogenous and one-dimensional perspective, as unrepresentable, inherently pathological, timeless, repetitious, unknowable, and unspeakable. This traditional interpretation has served as a dominant, popular model of trauma. However, expanding beyond traditional, essentialist concepts of identity, experience, and remembering, trauma scholars are producing alternative, pluralistic theories of trauma. Given this, this paper first will introduce the traditional psychological model of trauma. To deepen and enrich the discussion of trauma beyond that of the disease-driven paradigm based on pathological essentialism, it will also introduce more recent, detailed, and sophisticated trauma theor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multifaceted functions and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occurring at both the personal and the societal levels.
Ⅰ. Introduction
Ⅱ. The Psychological Model of Trauma
Ⅲ. Trauma as Unclaimed Experience
Ⅳ. Redefining Trauma beyond Eurocentrism
Ⅴ. Understanding Trauma from a Feminist Perspective
Ⅵ. Conclusion
Works 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