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의철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으로

From Developmental System Theory to Developmental System Medicine

이 논문은 발생계 의학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타진하는 소고이다. 발생계 의학은 기존 발생생물학의 발생계이론에서 추론되었다. 발생계 의학이 의학의 한 유형으로 정착된 개념은 아니지만, 나는 생물학 이론에서 특별한 의학이론이 논증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발생계 의학(DSM)은 발생학적 발달에 따른 표현형질 및 신체변화에 주목하는 발생학적 의학에 속하지만, 발달지체를 다루는 기존의 발달의학과 다르다. 발생계 의학은 후성유전학, 진화발생생물학(Evo-Devo), 특히 발생계이론에 밀접히 연관한다. 본 논문에서 발생계 의학은 발생계이론 해석에 근거하여 "질병의 후성유전자적 변수들을 찾는 의학"으로 정의된다. 발생계이론은 발생적 가소성과 발생 제한 개념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발생적 가소성은 발생계 이론의 핵심개념으로서 환경과 조응하여 생기는 후천적 변화 가능성이다. 발생 제한은 형태론적 변이의 한계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생물학적 관성이다. 필자는 진화적응과 발생적 가소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길버트와 에펠이 제안한 "구성적 상호성" 개념과 글루크만이 제안한 "매치" 개념을 사용하여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이 어떻게 산출되는지를 논증한다. 그리고 아포토시스의 사례를 통해서 발생계 이론이 임상의학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발생계 의학은 기존 임상의학의 효율성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terializing Developmental System Medicine(DSM) whose concept is inferred from the Developmental System Theory(DST). The DSM is not yet an established type of medicine, and I will try to provide arguments on how to draw this new type of medical practice from biological theory. DSM is discriminated from the 'developmental medicine for disabilities'. DSM is to do with realms of epigenetics, evo-devo, and the DST. DSM can be defined as a medical science whose purpose is to find epigenetical variables due to DST. DST can be characterized by two notions of developmental plasticity and developmental constraint. Developmental plasticity, which is vital to the DST, is an inner-ability for correction and modulation on organism's traits, coping with its environment after birth. Developmental constraint is a biological inertia to sustain homeostasis and limitation of morphological variations. I will argue that DSM can be defined as a deriative of DST, employing the concept of 'constructivist interactionism' conceived by Gray, and the concept of 'match', conceived by prof. Gluckman. I will also provide some cases of the apoptosis in order to show a possible physical application of DSM and its possible capacity to help extend the efficiency of existing clinical medicine.

【요약문】

1. 진화의학에서 발생계 의학으로

2. 발생생물학의 사유기반

3. 발생계 이론의 사유기반

4. 발생계 의학의 인식론적 이해

5. 아포토시스로 본 발생계 의학의 의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