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톨릭신학 제40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히에로니무스 『명인록』의 교부학적 의미

The Patristic Meaning of De viris illustribus of Hieronymus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347-420년)는 위대한 라틴어 번역가이자 인문학의 수호성인이며, 서방의 4대 교부로 일컬어진다. 라틴어로 옮긴 대중판성경 『불가타』Vulgata가 히에로니무스의 대표적 번역 업적이라면, 그의 대표저술은 『명인록』De viris illustribus이다. 393년에 출간된 『명인록』은 사도 베드로부터 자신에 이르기까지 저술가 135명의 생애와 작품을 소개한다. 그리스도교 저술가뿐 아니라, 이단과 열교, 유대인 필론과 요세푸스, 철학자 세네카도 아우른다. 히에로니무스의 『명인록』은 로마 전기 작가 수에토니우스에게 영감을 받았으며, 고대 세계에 널리 퍼져 있던 고대 저술가 목록의 형식적 전통을 활용했다.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가 물려준 『교회사』의 소중한 정보를 문헌학적 관심에 따라 과감하게 짜깁기했고, 자신만의 고유한 자료도 추가했다. 이렇게 『명인록』은 세속 문화와 성경 문화의 합류 지점이 되었고, 고전 문학 전통 안에 그리스도교의 새로운 자리를 마련했다. 『명인록』은 에우세비우스의 『교회사』가 개척한 고대 그리스도교 문헌학(litteratura christiana antiqua)의 새로운 전통 속에서 교부학(patrologia)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작품이다. 얼핏 보면 인명 소사전 같은 『명인록』은 교부학의 학문적 기원과 맞닿아 있다. 『명인록』은 교부학의 뿌리이며 가장 오래된 교부학 입문서다.

Hieronymus(347-420) was a great Latin translator and patron saint of the humanities, and is said to be one of the four great Church Fathers of the West. If Vulgata, the popular version of the Bible translated into Latin, is Hieronymus’ representative translation, his representative writing is De viris illustribus(On Illustrious Men). De viris illustribus, published in 393, presents the lives and works of 135 writers, from the apostle Peter to Hieronymus himself. It includes Christian writers, as well as heretics and schismatics, the Jews Philo and Josephus, and the philosopher Seneca. Hieronymus’ De viris illustribus was inspired by the Roman biographer Suetonius, and he drew upon the formal traditions of listing ancient authors that prevailed throughout the ancient world. He boldly weaved the precious information of Historia ecclesiastica handed down by Eusebius of Caesarea and added his own unique data. In this way, De viris illustribus became the confluence of secular and biblical culture and established a new place for Christianity in the classical literary tradition. De viris illustribus is the birthplace of ancient Christian literature(litteratura christiana antiqua) within the traditon of Historia ecclesiastica of Eusebius, and where patrology actually begins. At first glance, De viris illustrbus looks like a small prosopography, but in fact it is related with the academic origins of patrology. De viris illustribus is the root of patrology and is the old introductory text to patrology.

Ⅰ. 들어가는 말

Ⅱ. 히에로니무스 약전

Ⅲ. 『명인록』 저술 시기와 제목

Ⅳ. 『명인록』의 원천

Ⅴ. 문헌 전승

Ⅵ. 『명인록』의 교부학적 의미

Ⅶ.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