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노년학 제42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Predictors of the need for post-discharge transitional care services in older adults: A cross-sectional analysis

노인의 퇴원 후 전환기 돌봄서비스 필요도에 대한 예측요인

DOI : 10.31888/JKGS.2022.42.4.787
  • 371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인구 증가는 반복되는 입원과 이로 인한 건강악화를 초래하므로 병원에서 집 또는 요양기관으로 이동하는 기간인 전환기의 적절한 퇴원 후 환자관리 서비스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노인들의 전환기 돌봄서비스 필요도를 조사하고서비스 이용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강원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1:1 전화 설문을실시하였다. 노인의 전환기 돌봄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경제수준),질병관련 요인(주관적 건강, 만성질환 수, 2년 내 입원 경험), 돌봄관련 요인(혼자 보내는 시간 여부, 일상생활수행능력 평가 필요 여부,동거 여부)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은 전환기 돌봄서비스에대해 높은 필요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는 ‘퇴원 후 자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및 ‘거주지 근처에서이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입원 시 진단, 현재 상태, 치료계획 등에 대한 설명’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최근2년 내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노인의 퇴원 후 겪는 어려움으로는 ‘신체적 불편함(3.7점)’, ‘심리적 불편함(3점)’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질병관련 요인에서는 만성질환 질병 수(β=0.206, p<0.001)가 전환기 돌봄 서비스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돌봄관련 요인에서는 일상생활수행평가(β=-0.171, p<0.01)가 전환기 돌봄서비스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환자의 퇴원후 전환기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복합만성질환 보유 노인,일상생활수행 능력이 부족한 노인 등을 서비스 우선순위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환기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시하였다.

Chronic diseases in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lead to repeated hospitalizations and consequent deterioration of older adults' health,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post-discharge patient care services during the care transition period from the hospital to their homes or a nursing facil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lder adults’ need for transitional care services (TCS) and identify the associated factors. A 1:1 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older adults aged ≥65 years who resided in Gangwon Province,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predictors of older adults’ need for TCS, personal factors (sex, age, education level, residence, economic status), disease-related factors (self-rated health status,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chronic conditions, hospitalization within the last 2 years), and care-related factors (spending time alone during daytime, need assess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cohabitations) were examin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lder adults exhibited a high need for TCS, with the greatest need being “information and training on self-management of health after discharge,”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life support) services available near the patient’s living area,” and “description of the diagnosis, current condition, treatment plan, and outcome at the time of admission.” Additionally, the most common post-discharg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older adults who had been hospitalized over the last 2 years were “physical discomfort” (3.7)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3.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chronic conditions (among disease-related factors) and need assessment of ADLs (among care-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the need for TCS (β=0.206, p<0.001 and β=-0.171, p<0.01,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necessity to provide post-discharge TCS for elderly patients, especially older adults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or those with poor ADLs, who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se services.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Ⅵ.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