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노년학 제42권 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의미 있는 사회활동 참여 유형과 삶의 의미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Meaningful Social Activity and Meaning in Life of Older Adults

DOI : 10.31888/JKGS.2022.42.4.873
  • 1,045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의미 있는 사회활동 유형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각 유형이 삶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노인종합복지관과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875명을 대상으로 8가지 사회활동에 대한 지속적 참여 유무를 기준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유형으로 영향요인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의미 있는 사회활동 유형은 다차원적 활동형, 자기계발 중심형, 사회기여 중심형, 소극적 활동형의 4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성별, 연령, 최종학력 등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각 유형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활동 유형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차원적 활동형에 비해 소극적 활동형과 자기계발 중심형의 삶의 의미가 낮게 나타났으며, 다차원적 활동형과 사회기여 중심형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높이고, 삶의 의미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meaningful social activity of older adults and analyze how each type influences their meaning in life. A survey of 875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who utilized day-c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in South Korea was undertaken for this aim. Latent class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First, multidimensional activity type, self-development-oriented type, social contribution-oriented type, and passive activity type were derived as the types of meaningful social activity for the aged. Second,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factors for each type. Finally,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meaningful social activity type on meaning in life, passive and self-development-oriented activity type had lower m ean ing in life than multidimensional activity type. On the other hand, the impacts of the multidimensional activity type and the social contribution-oriented type on meaning in lif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omote older individuals'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meaning in life.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