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앞표지.PNG
학술저널

얼굴성 해체와 디지털 캐릭터 창출과의 접목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dismantlement of faciality with digital character creation: Focusing on the 'Art Brut' of Jean Dubuffet

DOI : 10.56659/kdps.2022.7.1.27
  • 38

본고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얼굴성(visagéité)’ 개념을 중심으로 장 뒤뷔페(Jean Dubuffet)의 아르 브뤼(Art Brut) 회화에 나타난 얼굴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얼굴성 해체 담론이 디지털 시대의 캐릭터 창출과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한다. 들뢰즈에 따르면 얼굴은 신체로부터 탈영토화한 언어적인 표현의 층위로서, 서구 문명 사회를 지배하는 단일한 코드에 의해 인간을 의미화와 주체화에 고정시키는것이 바로 얼굴성 기제이다. 본고는 고전적인 재현 체계를 무너뜨리는 아르 브뤼의날 것 그대로의 얼굴 이미지를 통해 얼굴성의 메커니즘이 관통하지 않은 원초적인 얼굴의 원형을 포착하고자 한다. 이러한 아르 브뤼의 비정형의 얼굴과 들뢰즈의 비결정성의 얼굴은 얼굴성과 몸체의 결정불가능성, 물질적 오브제와의 관계성을 통해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얼굴과 몸체 이미지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본고에서 주장하는 얼굴성의 ‘해체’는 얼굴 재현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또 다른 생명력을 지닌 디지털 캐릭터의 무한한 창조 가능성을 여는 단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discourse of dismantlement of faciality can be combined with character creation in the digital age by analyzing the facial images in Jean Dubuffet's Art Brut painting focusing on Gilles Deleuze's concept of 'faciality'. According to Deleuze, the face is a layer of linguistic expression deterritorialized from the body, and it is the mechanism of faciality that fixes humans to signifiance and subjectification by a single code that dominates Western civilization. This paper attempts to capture the prototype of the face that the mechanism of faciality do not penetrate through the raw image of faces in Art Brut, which breaks down the classical representation system. These informel faces of Art Brut and Deleuze's undecidable faces suggest the possibility of various expressions of face and body images through the undecidability between faciality and body, and the relationship with material objects. In other words, the deconstruction of faciality as claimed in this paper can open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creating digital characters with another vitality as a new approach to face representat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