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 19 상황 K대학 학생들의 비대면 강의만족도 인식수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상황 K대학 학생들의 비대면 강의만족도 인식수준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남소재 K대학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강의만족도 인식수준에 대한 잠재계층확인과 계층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강의만족도에서의 잠재계층을 확인한 결과 4개(‘고만족집단’, ‘중만족집단’, ‘저만족집단’, ‘최저만족집단’)의 이질적인 계층으로 구분되었으며, 4개의 계층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수업 외 면담 횟수, 강의 동영상 효과비율, 과제시험피드백비율, 학생의견 청취와 반영 실태, 수업 중 질문 유도 및 학생수준파악 인식은 집단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강의만족도를 고취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lectures satisfa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on these latent profiles. Methods To do this, correlat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latent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for the level of perception of lecture satisfaction for 327 K-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Results As results,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distinct latent classes of student’s lectures satisfaction were found. These classes were named ‘high-level satisfaction group’, ‘intermediate-level satisfaction group’, ‘low-level satisfaction group’ and ‘lowest-level satisfaction group. Second, chi-square and one-way ANOVA analyses indicated that number of out-of-class interviews, effect ratio for video, listening to and reflecting student opinions, Induce questions in class, and understanding the level of students were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measures to help increase lectures satisfaction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