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학교 놀이 공간 혁신을 위한 구성요인 탐색

A Study on the Innovational Factors of Play Space in Elementary School

  • 2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5호.jpg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놀이 공간 혁신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 초등학교 놀이 공간의 구성요인을 구안, 초등학교 놀이 공간 혁신을 위한 적합한 문항을 구성하여 학교 놀이 공간 혁신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6권역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총 6개 요인, 28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요인은 각각 그 특성에 따라 모험성, 아동 주도성, 안전성, 아동 특성, 접근성, 충분성으로 명명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놀이 공간 혁신을 위해서는 첫째, 모험성, 안전성, 접근성, 충분성의 요인을 반영한 물리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 주도성, 아동 특성 등의 요인을 반영한 아동 중심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 적합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놀이 공간 구성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s As an exploratory study for elementary school play space innovation,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sic data for school play space innovation research by figuring out the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play space.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64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6 districts nationwid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6 factors were derived. The factors were named adventurous, child initiative, safety, child characteristics, accessibility, and sufficienc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Conclusions In order to innovate the elementary school play space,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a physical approach that reflects the factors of adventurous, safety, accessibility, and sufficiency. Second, a child-centered approach that reflects factors such as child initiative and child characteristics is requir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figure a practical and specific play spac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