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4권 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디지털 노마드적 삶의 방식을 위한 예술교육의 방향 탐색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하는 현대사회에서 동시대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지털 노마드’로 특징지을 수 있는 현대인의 삶의 특성과 예술을 향유하는 방식을 탐색하였다. 디지털 노마드적 삶에 부합하는 예술교육은 예술적 경험에 의한 성찰을 강화하는 가운데 시대의 상황과 예술향유 방식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수자의 역할과 교수법의 변화가 요구된다. 동시대 예술교육은디지털 매체를 적용한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왜’라는 의구심을 품고 낯선 것을 선택할 수있도록 교수자와 학습자 간 파트너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나아가, 예술교육은 디지털 노마드인 학습자가 보이지 않는 권력을 볼 수 있도록 예술적 경험을 통한 성찰로 깊이 사유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예술교육의 방향은 현대인의 삶을 반영하는 동시에 예술교육의 본연의 역할을 강화해야 하는 양자 사이의 균형을 갖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s education in liquid modern. To this end, we explore modern people's lives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Digital Nomad' and ways of enjoying arts. Arts education consistent with digital nomad life requires a change in the role of instructors and teaching method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way to use arts while strengthening reflection by artistic experiences. Contemporary arts education should form a partnership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so that they can choose unfamiliar things with doubts about "why" to learners and technical problems applying digital media. In addition, arts education should allow learners, who are digital nomads, to think deeply through reflection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so that they can see invisible power. This direction of arts education reflects the lives of modern people. It suggests that the two in arts education should establish a balance that must strengthen their original role.

1. 서론

2. 현대사회와 디지털 노마드적 삶

3. 디지털 노마드의 예술향유 방식

4. 디지털 노마드적 삶을 반영한 예술교육의 방향

5.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