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한국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정책과 실행

  • 3

세계시민교육은 미래 지향적이고 필연적인 방향이다. 지구촌 시대는 학생이 한 국가의 시민이면서 동시에 세계시민으로서 자신을 인식하고 성장하도록 요구한다. 2015개정 교육과정은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제시한다. 또한 민주 시민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을 범교과 학습주제로 주문하고 있다.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전개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공존과 상생의 세계시민교육확산을 위해 첫째, 학교별 세계시민교육 자율 시행 지원, 둘째, 세계시민교육 교원역량강화 및 활성화 기반 마련, 셋째, 세계시민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다문화교육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문기관 협약, 교원연수, 인정교과서 보급, 정책지원학교 지정・운영, 학습동아리 지원, 유네스코학교 지원 등 학교 현장에 구체적 지원을 하고 있다. 국제개발기관의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접근 및 확산을 위해서, 국제개발협력 전문기관 간 학교지원 협의체 운영, 교육과정 개정 논의 참여, 교원연수 프로그램 연계 운영, 세계시민교육 학교컨설팅 및 국내・외 체험 프로그램 협의와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Ⅰ.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정책 및 현황_x000D_ 1.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_x000D_ 2. 공교육 내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정책 및 흐름_x000D_ _x000D_ Ⅱ.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안의 세계시민교육 _x000D_ 1. 2015 국가 교육과정 인간상 및 핵심역량_x000D_ 2.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 학교급별 교육목표_x000D_ 3. 세계시민교육 연계 교과 활동을 위한 교과서 분석_x000D_ 4. 세계시민교육 인정교과서 개발·보급 (2017)_x000D_ _x000D_ Ⅲ. 서울시교육청의 세계시민교육 정책, 전략, 우수 사례_x000D_ 1. 학교별 세계시민교육 자율 시행 지원_x000D_ 2. 세계시민교육 교원역량 제고 및 활성화 기반 구축_x000D_ 3. 세계시민교육 네트워크 구축_x000D_ 4. 다문화교육 주요 과제와 실제_x000D_ 5. 학교 현장의 세계시민교육 우수 사례_x000D_ _x000D_ Ⅳ. 국제개발기관의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접근 및 확산을 위한 제언_x000D_ 1. 학교의 나눔교육 및 국제구호활동 중심으로 접근 추세_x000D_ 2. 유네스코학교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핵심 주제 지속 추진_x000D_ 3. 개발교육기관의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접근 및 확산을 위한 제언_x000D_ _x000D_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