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개발 프로그램 평가자 역량 기준 마련을 위한 해외 사례 및 국내 적용 현황 분석

Trends of Essential Evaluator Competencies: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or Competency Standards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 2

개발 효과성 중심의 논의가 시작되면서 개발협력 사업의 성과 평가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전략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에 대한 요구와 평가자의 역량 및 기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평가협회를 포함하여 미국, 캐나다, 호주 및 남아프리카공화국 평가협회와 UN과 같은 개발협력기관에서 수립한 평가자 역량을 비교분석하였다._x000D_ 또한,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 외부평가 운영 시 평가자 역량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KOICA는 평가 업무 전반에 걸쳐 평가자의 역량을 심사하고 있으나, 평가자 역량의 정의나 분류법이 부재하여 평가자 선발을 위한 심사나 체계적인 평가 품질관리 운영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개발협력 평가자 직무 역량을 정의하고, 그 기준을 체계화하여 전문성을 갖춘 평가자 선발과 평가의 품질을 관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가 향후 평가 교육과정 수립의 기초가 되어 역량 있는 평가자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evaluator competency trends and standard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evaluation society in Korea, as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program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valuator competencies that are established by both evaluation associations in the Americas, Canada, Australia, and South Africa, and the development cooperation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Nations.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the evaluation competencies presented in overseas cases ar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of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KOICA reviews evaluator competenci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evaluators, because evaluator competencies are not properly defined and classified.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defining evaluator job competencies in Korea but also systematizing competency standards to select competent evaluators and to manage the quality of evaluation. Furthermore, the proposed evaluator competencies in this study will establish a basis for designing evaluation training curriculums, thus contributing to training competent evaluators in Korea.

Ⅰ. 서론_x000D_ Ⅱ. 이론적 배경_x000D_ Ⅲ. 연구 절차 및 방법_x000D_ Ⅳ. 연구 틀 개발_x000D_ Ⅴ. 연구 결과 _x000D_ Ⅵ.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