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554.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간상관성을 활용한 사회안전지수의 이해

사회안전지수(Korea security index, 2021)는 전국의 15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의 안전과 불안감에 영향을 주는 생활안전 뿐만 아니라 경제활동, 건강보건, 주거환경 등 크게 4개 분야를 기준으로 도출된 것이다. 이 지수는 개별 시·군·구의 사회안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각 지자체의 시민 서비스를 위한 행정보조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지수에 사용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와 설문조사 결과를 결합한 것으로, 공공데이터는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공개한 안전관련 통계자료이며, 설문조사 결과는 해당 지자체의 주민에게 사회안전에 대한 의식을 질문하여얻은 것이다. 즉, 사회안전지수는 객관적인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안전과 실제 체감의 영역인안심을 함께 측정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155개 시·군·구를 측정한 사회안전지수에 대해 지리적 인접성이 고려된 공간통계를 활용하여 공간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지자체별로 공간적 상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안전지수는 공간적 집락성을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