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건조, 상온 건조, 볶음 후 상온 건조가 한라봉(Citrus sphaerocarpa Tanka nom. nud.) 과피차의 향기 성분과 당도 및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e Drying, Room-temperature Drying, and Room-temperature Drying after Roasting on Volatile Compounds Sugar Content,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llabong (Citrus sphaerocarpa Tanka nom. nud.) Peel Tea
본 연구는 한라봉의 부산물인 과피를 차의 재료로 활용하기위해 동결건조, 상온 건조, 볶음 후 상온 건조의 세 가지 건조방법이 한라봉 과피의 생리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색도는 동결건조한 한라봉 과피의 명도(L* )가 유의하게 높았고황색도(b* ), 색상 각(h°)과 채도(C* )는 볶음 후 상온 건조가 유의하게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은 세 처리구 모두 유의한 차이를나타내지 않았다. 향기 성분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90~97%를차지하는 d-limonene은 볶음 후 상온 건조에서 유의하게 높게검출되었다. 동결건조는 다른 건조처리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낮았는데, 이는 동결건조과정에서 향기성분의 손실이 일어났기 때문이며 동결건조기 내부에 응축된 얼음에서한라봉 과피와 동일한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항산화능 모두 세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용성 일차대사 산물의 대사체변화를 PCA 분석 결과 건조 처리 별로 95% 수준에서 차별화된군집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를 통해 처리 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볶음 후 상온 건조 가공처리가 한라봉 과피차 전처리에 적절한 가공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The effects of freeze-drying (FD), room-temperature drying (RD), and room-temperature drying after roasting (RDAR)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gar content,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allabong peel tea were teste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llect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of peel tea. FD samples showed lower total soluble solids and VOCs than other drying treatments. RDAR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s and visual color of FD samples. The reduced VOCs in FD samples was caused by freeze drying treatment; identical VOCs composition of hallabong peel was detected from condensed ice of freeze-drying machine. Metabolomics analysi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ree drying treatments.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ree different drying treatments. Thus, RD or RDAR is a suitable drying method for hallabong peel tea rather than FD method in terms of VOCs and economical reasons.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