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5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와 유형 및 등급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Forest Wetland Evaluation Factors and Types

DOI : 10.7732/kjpr.2022.35.4.471
  • 33

본 연구는 산림습원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로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항목인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및 교란정도 4가지 카테고리의 23개 평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의 개선을통하여 향후 산림습원 보전 및 복원에 필요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보전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체계적인 모티터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산림습원 유형 구분과 규모와 접근성은 양적 상관을 보였으나, 나머지 항목은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산림습원 등급과는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중치가 부여된 4가지 상위 카테고리 요소와 아주 큰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가치평가 항목의 평가 기준치를 조정하거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거나 가중치에 대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조정이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산림습원의 경우 생물다양성으로인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가장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고유성・희소성(15%), 야생동물서식지(15%), 식생 및 경관(35%),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30%) 그리고 인문・사회경관(5%)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볼 수 있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중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455 forest wetlands of south Korea for which an inventory was established through value evaluation and grad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s and 23 evaluation factors in four categories: vegetation and landscape, material circulation and hydraulics・ hydrology,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and disturbance level. Through the improvement of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s, it is possible to secur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setting up conservation measures by preparing standards necessary for future forest wetland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nd to found a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First, between the type of forest wetland and size and accessi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remaining items were analyzed to have negative or no correl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negative correlation or no correlation with the grades of forest wetland.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very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weighted four category items. Thus, it is judged that improvement i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error in the weight or adjust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value evaluation item, add an item that can increase objectivity. Especially, in the case of forest wetlands, the ecosystem service function due to biodiversity is the largest, so evaluation items should be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refore, it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uniqueness and rarity (15%), wildlife habitat (15%), vegetation and landscape (35%), material cycle・hydraulic hydrology (30%), and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5%). It will be possible to propose weights that can increase effectiveness.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