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비무장과 평화의 사이에서

Between Demilitarization and Peace : The Korean DMZ and the Japanese Peace Constitution

  • 7

한국 정부와 일본 시민단체에서 한반도 비무장지대와 일본 평화헌법을유네스코 유산으로 등재하려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주로 분단 극복과평화 공고화라는 목적에서이다. 이 글은 생성, 존속, 효과 등에 있어 유사한 면이 많은 비무장지대 및 평화헌법을 개념적으로 또 사실적으로 비교하고 정리한다. 비무장지대와 평화헌법의 생성을 각각 정전과 패전이라는정치적 사건에서 찾아, 비무장지대의 국제법적 연원은 정전이고, 평화헌법이라는 국내법의 정치적 기원은 패전임을 보여준다. 한반도 비무장지대및 일본 평화헌법의 평화 브랜드 활용이라는 맥락에서 유네스코 유산 등재 추진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Some citizens in Korea and Japan are discussing ways to list the Korean DMZ and Japan's Peace Constitution as UNESCO heritages. This paper conceptually and realistically compares and summarizes the use of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Peace Constitution, which have many similarities in terms of establishment, maintenance, and effectiveness.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Peace Constitution are established in the political events of armistice and war defeat, respectively. While an armistice agreement is an international legal source of the Demilitarized Zone, the political origin of the Peace Constitution, the supreme domestic law, is war defeat. In the context of the brand extension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and the Japanese Peace Constitution, whether and how to list them as UNESCO Heritages is review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