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로 청소년 탈북학생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학교 부적응 문제가 점차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연구는 탈북학생을 위한 특성화 학교인 한겨레고등학교의 단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학생들의 정착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편성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한겨레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들의 교육적요구를 진단한다. 둘째, 탈북학생들의 요구와 학교의 여건에 기초하여한겨레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방향과 단위 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개발한다. 셋째, 탈북학생을 위한 전환기학교로서 한겨레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 외에도 6명의 전문가 워킹 그룹 구성운영이라는 독특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선 방안은 현행 교육과정 구조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안과 현재의 교육과정 기준에는 벗어나지만 전환기학교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2가지 차원의 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장기적인 정책을 제언하였다.
As young students from North Korea have increased their school adjustment is gradually emerging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igh school curriculum for Hankyoreh school as a case study. Specific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to offer a direction for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s educational needs. Second, this study develops a school level of curriculum based on the needs and environments. Third, it suggests a mid- to long-term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s a transitional point for student from North Korea.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 documents related to the research purposes, held expert council meetings, as well as operated a working group.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ed 2 curricula; one is more optimized for current curriculum, and the other is idealized fo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chool.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proposed policies for a long-term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e cas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