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통일한국의 세계사적 의미와 방향성

비판적 고찰과 새로운 제안

통일한국의 미래상과 방향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통일이 급작스럽게 오든 긴 과정 끝에 오든, 통일에 대비하고 준비해야 통일의 기회를 온전한 통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나온 표준적인 주장은자유민주주의와 열린 민족주의를 이념으로 채택하고, 시장경제 체제, 평화주의 전통, 인간중심적 체제 그리고 인본주의 등을 계승,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통일한국의 세계사적 의미로서 세계 8위권이내의경제대국화, 국제정치상의 실질 강대국으로의 부상, 국제사회에서 담당하게 될 크고 힘 있는 역할 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강조는 통일을 위해 협력을 구할 주변 국가들의 우려만 확대시킬 가능성이크다. 바람직한 것은 전 세계 국가들과 더불어 세계적 평화와 번영을선도적으로 추구하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통일한국의 세계사적의미와 방향성은 ‘소프트파워’를 강조하는 미래지향적이고 평화공존적인‘21세기 신형 선진국’에서 찾아야 한다. 이 논문은 ‘비핵화 중심축 통일한국,’ ‘UN평화유지군의 주축 통일한국,’ ‘개도국들의 희망 통일한국,’ ‘문화강국 통일한국’을 방향으로 제시했다.

Existing studies on the future prospect for the Unified Korea commonly find their ideological heritage in liberal democracy and opened nationalism. Also highlighted ar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one of eight great economic powers and burgeoning as an international political power. Given the concerns of such neighboring countries as China and Japan about the Unified Korea emerging as a military power with a large economy, it is more desirable for Korea to build up an image of a country pursuing world peace and prosperity together with other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future prospect for the Unified Korea had better be developed in the future and peace-oriented 'new-type of advanced country' with the so-called soft power. Therefore, this essay proposes the following four concrete images: an axis of denuclearization, an axis of UN peace-keeping operations, a hope for less-developed countries, and a cultural powerhous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