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통일연구와 평화문제 간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특히평화가 지니고 있는 정치철학적 개념정의를 통해 통일교육에 있어서 평화문제와 가치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평화는 정치철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 중의 하나이다. 평화는 스스로 독립적으로설 수 있는 가치가 아니다. 즉 평화는 결코 궁극적 가치라고 할 수 없다. 그 어떤 전제와 조건에 의해서 규율되어야 제대로 설 수 있는 결과적 가치이자 부수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평화를 규율하는 전제적 가치는 바로 자유와 인권과 같은 보편적 가치이고 평화의 가치를 현실에서 올바르게 성립하게 하는 것은 바로 민주주의라고 하는 보편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화에의 정치철학적 개념정의를 통해 본논문은 통일교육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성격을 규명하였고 이를 기초로 하여 통일교육에 있어서 평화문제와 가치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에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내용의 골자는 자유라고 하는 인간의 본질적인 가치에 의한 평화교육의 실천만이 우리 정부의 통일교육의 목표를현실과 현장에서 바로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평화에 대한 제대로된이해가 없이 이루어지는 통일교육은 무의미할 뿐 아니라 우리 체제의분열을 조장하고 통일에 악영향을 끼칠 뿐이라고 생각한다.
This thesis is on the interrelations of unification study and peace problem. Specially, this study has reviewed the meaning of peace problem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Peace is the one of topics in the political philosophy. Peace is not a value happening by itself. That is to say, it is not the ultimate value. Peace ia the consequential and additional value regulating by some conditions. The preconditions regulating peace are the universal values like freedom and human right, the universal institution like democracy. On this peace concept by political philosophy, this thesis has analysed the essential character in the unification and the direction of peace problem.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he emphasis of peaceful view on the basis of freedom. Our government is to be realized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on the realization of upper conditions. The unification education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peace is meaningless. Further more, I think that a misdirected unification education exercise a bad influence on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