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61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Too many Sacrifices? : Remarks on Retainer Burials on the Korean Peninsula*

너무 많은 희생? 삼국 시대 순장 관습에 대한 논의

  • 16

순장(retainer burial:순장의 영문 용어)은 삼국시대 초기 신라 및 가야 정치의 독특한 특징이다. 순장 관습은 삼국사기에 표기되어 있고 고고학 기록으로 남아있는 여러 고분에 의해 증명된다. 다곽식 고분에서 여러 시신이 동시에 매장됨이 타당해 보이는 한, 일반적으로 순장이 집행됐다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다곽식 고분이 형성된 이유를 논할 때 순장 이외의 이유들은 종종 체계적으로 배제되거나 고려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다곽식 고분이 일반적으로 인간의 희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 논한다. 순장의 역사는 의문의 여지가 전혀 없지만, 순장이라 입증되는 증거가 분명하지 않거나 다각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최근 연구의 일반적 동향과 통찰을 바탕으로 순장의 식별을 위해 동시성의 중심 개념에 대해 논한다. 질병 발생의 가능성과 빈번한 폭력적 갈등 상황을 제외하고, 기념비적이거나 큰 고분의 건설을 위한 긴 준비 기간이 매장된 사람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골이 충분히 발굴된 고분에서 모계 혈통으로 매장된 사람들을 예로, 동시에 매장된 것이 아닌 무덤을 재사용한 것이 타당해 보이며, 이는 방무덤으로 건설했기 때문에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고분묘는 고정된 구조물이 아닌 종종 변경, 보수 및 병합되는데, 이는 공동체의 정체성 구축을 위한 기준점으로서의 기능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Sunjang or retainer burial is a peculiar characteristic of Silla and the Gaya polities in an early stag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existence of this practice is attested by an entry in the Samguk sagi and by the occurrence of multiple graves in the archaeological record. There is a general tendency to interpret all graves that have more than one interment as representative of the sunjang practice, as long as the synchronicity of the burial appears to be plausible. Other reasons that may lead to the formation of multiple graves are often not systematically excluded or considered at all. The present article argues that too many multiple burials are uniformly interpreted to include human sacrifices. Although the existence of the practice of sunjang is not questioned at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 available evidence is often ambiguous and may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Based on general considerations and insights of recent research, the central concept of synchronic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retainer burials is contested. This is because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construction of a monumental or big grave may affect the number of interred individuals aside from the possibility of disease and frequent violent conflict. Matrilineal family ties of the interred individuals, as ascertained for burials with sufficient bone material, can be plausibly explained as a result of reusing the grave, which was possible due to the construction as a chamber tomb. Besides it is being argued that the mounded graves were not static structures, they were frequently altered, renovated and merged, which was due to their function as reference points for the identity 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Ⅰ. Introduction

Ⅱ. Multiple Burials

Ⅲ. Human Sacrifices in Burials on the Korean Peninsula

Ⅳ. Current Research on Graves with Retainer Sacrifice

Ⅴ. Discussing the Synchronicity of the Burials

Ⅵ. Discussing Grave Rearrangements

Ⅶ.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