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코로나19 위기와 한국인의 복지태도

Covid-19 Crisis and Public Attitudes to Welfare Policies: Focusing on the Government’s Covid-19 Response Evaluation, Government Capacity, and Role of the Government

  • 86
지방정부연구 제26권 제2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코로나19 위기대응역량에 대한 평가와 전반적인 관리역량, 정부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정부의 규모와 기능에 대한 기대가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감염병에 대해 지각하는 위험인식 수준에 따라 코로나19 대응평가, 정부역량, 정부역할에 대한 인식이 복지확대 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로나19 대응평가 중 재난지원금에 대한 효과성이 복지확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역량의 경우 관리역량이 높은 것으로 인식할수록 복지확대 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할수록 복지확대에 대해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다. 셋째, 정부의 규모와 기능의 확대를 기대할수록 복지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대응평가와 복지확대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부역량과 복지확대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역할과 복지확대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 시대의 정부의 대응, 정부의 역량, 정부의 역할, 그리고 위험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위기에 대한 경험적 학습과 복지태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ollowing factors towards public welfare attitudes: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Covid-19 crisis response, the government managerial capacity,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efficiency, and the expectation on the size and scope of the government.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Covid-19 crisis response evaluation, government capacity, and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government on welfare attitude changes depending on the perceived risk perception level for infectious disea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relief fu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elfare attitude, but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quarantine policy did not affect the welfare attitude. Second, interestingly, in the case of government capacity, it was observed that managerial capac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welfare expansion. Third, in the case of the role of the government, it was found that expectations for the size and scope of the government were related to positive attitudes toward welfare polic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risk perception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response evaluation and the attitude to expand welfare, whereas it was found that risk percep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capacity and the attitude to expand welfa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isk percep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role and welfare attitude.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toward crisis and welfare attitudes are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