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의 식생활 및 식품 소비 행태에 대한 독거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living alone on the dietary life and food consumption of the elderly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22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2.08221 - 239 (19 pages)
- 141

이 논문은 독거 고령자와 유사한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가진 비독거 고령자를 매칭하여 식생활 및 식품 소비 행태에 대한 독거 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식사 규칙성, 식생활, 식품 안전성, 식품 소비 역량 영역에서 고령자가 혼자 생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독거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독거 여부가 식생활 및 식품 소비 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할 때 선택 편향과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6~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성인 가구원 조사 응답자 중에서 만 60세 이상 고령자(독거: 671명, 비독거: 2,912명)로 선정하였다. 성향점수매칭(PSM) 분석 결과, 독거 고령자는 비독거 고령자에 비해 식사 규칙성이 낮은 수준이고 일주일간 아침식사를 거른 횟수가 2배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 고령자가 비독거 고령자보다 식생활 만족도와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가 비교적 낮은 수준이고, 안전한 식품에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독거 고령자가 비독거 고령자보다 음식 구매에 대한 경제적 여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독거 고령자가 식품 소비에 취약한 계층이고 충분한 식품을 섭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