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 후 사반세기에 접어들고 있다. 독일 국토 위에 발생해 온누적된 감정의 응어리와 사회적 기대에 따른 좌절과 절망이 노소와 좌우, 유산자와 무산자 사이에 극단으로 나뉘어 무엇보다 같은 나라 안에서 적대감정을 드러내는 일들이 폭력으로 분출하고 있다. 한국사회에도시대가 바뀌고 시민의식이 성숙되어가는 과도선상에 있다. 과거의 한때 악몽(적대의식)을 되풀이하는 행위는 삼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논문은 통일 후 오늘날 독일의 극우파의 모습을 거울삼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극우를 거울삼아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형태를 미리 생각해보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같다. 자본주의가 극단적 이익을추구하는데다가 정치체제도 남북분단으로 문제가 많아 사회가 점점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우리 사회도 선거 제도의 개혁을 통해 소수자의뜻을 대변하는 진보정당도 나와서 다양성의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북한의 젊은 김정은 당 비서도 책임 있는 정치지도자로 거듭나야한다. 군사대결의 선제적 제압보다 통치를 위한 남북의 타협이 안정된모습으로 다가와야 새로운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Even after German reunification led to right –wing extremists engaging in various kinds of social terror. Driving out the opposition like in a medieval witch hunt, the Hitler era’s Nazis made people become suspicous of each other and branded the opposition as a communists in order to eliminate them. therefore there has been still a act of force. It is being too judged that in Korean society as times change and democracy matures, we have to refrain from repeating another time’s nightmare over and over and to face the new era. There is a need to the present shape of extreme right-wings in reunified Germany. To improve the present situation in our country, North korea has to return to rationaltiy and Kim Jong-Un has to present himself as a responsible political leader instead of violence. we need to compromise through doalogue to be able to contribute to a new peace world with both country in a safer shape than before. Before we have the Unification Korea, we have to consider getting to the future scene and we’d better prefare for the internal hos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