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은 인간의 가치판단과 행동에 대한 인지적이고도 정서적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모든 정치`사회적인 상황 속에서 어떠한 가치정향을 보이는가는 도덕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통일의식도 도덕성의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다. 통일의식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기능적 영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영역을 도출하는 과정은 통계학적인 요인분석의 절차와 유사하다. 기존의 도덕성은도덕발달과 도덕적 추론의 개념하에서 고려되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도덕 판단력, 도덕 감수성, 도덕적 실천력 등의 관련 개념이 등장했다. 이러한 접근에 대한 반향으로 관습의 특성을 강조하는 영역이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연구는 인간의 가치의식을 측정하기 위한 전통적인 도덕성 측정이론에 대한 흐름을 분석한 뒤,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도덕적 기능을 정립할 것을 제안한다. 그것을 토대로통일의식을 측정하는 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Morality is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 value judgment and action. Thus the moral problem could seem to have to do with that of value direction in all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In this sense, unification consciousness may also be explored in the level of morality. Functional spheres of diverse forms need to be contemplated in order to enhance unification consciousness. Concluded courses of these spheres are similar to those of statistical factorial analysis. The existing morality have been taken account of under the concept of moral reasoning, and such concepts as moral judgment, moral sensitivity, moral implementation and so on have appeared in compliance with an extension of it. a territorial theory has been brought up as reverberations to this approach. The territorial theory emphasizes attributes of conventions. After this study analyzes conventional changing process of morality measurement theory, which has measured valu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 it points ou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proposes that moral func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 alternative. We arrive at implications through measurement of unification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