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N 기반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격자단위 인구추정
- 변상영 이동찬 김기환
- 한국자료분석학회
-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22년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 2022.07
- 43 - 43 (1 pages)
인구는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의 인구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정확한 인구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인구추정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인구추정을 위해 항공사진이나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야간불빛을 관측한 위성 이미지는 특정 지역의 실측자료 없이도 도시 개발과 경제성장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기초 데이터가 부족한 저개발국 및 개발 도상국의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북한은 폐쇄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초 데이터가 매우 부족하다. 통일연구원(2020)에 따르면, 북한 인구센서스는 1993년과 2008년 두 차례 실시하였지만, .두 센서스 모두 상이한 두 가지 인구수가 제공되어 데이터 왜곡의 가능성으로 신뢰성 측면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인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한반도 통일정책의 수립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인구를 추정하기 위해 CNN 기반 주간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격자 단위 인구추정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북한 인구추정에서는 위성 이미지를 보조자료로 활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위성 이미지만을 활용하여 인구를 추정하였다. 주간 위성 이미지는 Land Viewer에서 제공하는 Landsat 8 위성이 관측한 3, 4월의 위성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모델의 평가는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평균 제곱근 오차(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대한민국을 기반으로 한 모델의 적합 평가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타났으나, 북한 대상의 인구추정 결과는 위성 이미지가 가지는 한계점으로 인해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이미지를 개선한다면 보다 개선된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