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秦 시대 天命觀의 전개
Development of the Outlooks on the Mandate of Heaven in Pre-Qin(先秦) Period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논총
- 제42권 제3호
-
2022.081 - 38 (38 pages)
-
DOI : 10.38133/cnulawreview.2022.42.3.1
- 502

본고는 동아시아 고대 철학사상에 핵심 근간인 하늘과 사람 사이에 天人관계에 관한 법철학적 연구에 일환으로, 그 기본인 天論과 人法天 사상에 후속해 펼쳐지는 선진 시대 천명관을 탐구한다. 제1장 머리글에 이어, 제2장에서는 기본 개념인 天命과 天道, 그 위반에 대한 天罰의 의미를 간략히 정의해 본격 탐구를 위한 기초 준비로 삼는다. 제3장에서는 선진 천명관 발전의 3단계를 탐구한 주요 학설들을 근래 사회주의 중국대륙의 대표적 연구 성과들의 내용을 요약 정리해 소개하면서, 개혁개방 전후에 나타나는 학설들의 관점 및 연구내용상 획기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집중 조명한다. 대체로 20세기 말까지는 마르크시즘의 유물론에 충실히 복종하여 정치적 도구로서 종교의 마약성 관점에서 부정적으로 폄하하였다면, 21세기 들어서서는 개혁개방과 민주법제 진전에 따라 전통 종교신앙에 대한 역사학적 인류학적 일반보편성을 상당히 수용하면서 제정일치의 고대 종교의 순기능을 긍정 평가하는 점이 특히 눈에 띄는 변화다. 그 다음으로는 선진 고전문헌 원전자료를 중심으로 필자 나름의 분석 평가를 시도해본다. 제4장에서는 尙書 등 문헌기록 내용을 바탕으로 殷代 천명과 천벌재이 사상을 차례로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詩經・書經 등에 나타나는 西周 시기 천명과 천벌재이 사상을 개관하며, 제6장에서는 춘추전국시대 천명론의 변화와 그 정치도덕상 의미를 분석 평가해본다.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는 본고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필자의 영감에 새로운 화두처럼 떠오른 문제의식으로서, 천명관의 역사철학적 우주적 연원 가능성을 간략히 제시하여, 앞으로 인연 있는 분들의 관심과 확대심화 연구를 기대하고, 제8장은 간략한 맺음말로 본고를 마친다.
This work will study the outlooks on the mandate of Heaven in pre-Qin period, as one of philosophical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Heaven & Human beings, the core of ancient thoughts in East Asian traditional history & culture. The 1st chap. is introduction, it will mention the theories on concepts of Heaven and a thesis that the Human models the Heaven as a leading study. The 2nd chap. will defy some definitions of the mandate of Heaven, the road(way) of Heaven, and Heaven’s vengeance as a punishment to disobedience against Heaven’s Will. The 3rd chap. will introduce main theories on three step developments of the outlooks on the mandate of Heaven in pre-Qin period mainly concerning works in the continent of China, which show an epoch-making change before and after reform & opening of socialist market economy. To the end of 20th century, researches in the continent of China were faithful (devoted) to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and disparage the religions & faiths as a political tool & a narcotic against the people’s will. But from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researches approve the positive functions of religions in the human history & culture, so appreciate developments of the outlooks on the mandate of Heaven in pre-Qin period. Then this work will try the author’s own analysis & criticism based on classical literatures. 「on」; (documen-tary) records; documents The 4th chap. is the outlook on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thought on disasters from Heaven in Yin(殷) dynasty. The 5th chap. is the outlook on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thought on disasters from Heaven in West-Zhou(西周) dynasty. The 6th chap. will survey and comment on the changes of the outlook on the mandate of Heaven in Spring & Autumn(Chun-Qiu) period and Warring States period. Lastly the 7th chap. will come up with an the author’s own idea of the probability of th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universal(or cosmic) origin of the outlook on the mandate of Heaven. The 8th chap. is a brief conclusion. The author of this work anticipate that some able students may have interest in this subject and accomplish further more deepening inquiry.
Ⅰ. 머리글
Ⅱ. 天命과 天道, 그 위반에 대한 天罰
Ⅲ. 선진 천명관 발전의 3단계-학설들의 변화
Ⅳ. 殷代 천명과 천벌재이 사상
Ⅴ. 西周 시기 천명과 천벌재이 사상
Ⅵ. 춘추전국시대 천명론과 정치도덕상 의미
Ⅶ. 천명관의 역사철학적 우주적 연원 가능성
Ⅷ.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