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자폐성 장애 학생을 위한 국어 및 수학과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분석

Single-Subject Research on the School Subject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OI : 10.33729/kapa.2022.2.3
  • 667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 학생을 위한 국어, 수학과 관련 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질적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문헌을수집하기 위해 설정한 문헌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분석 대상 논문은 19편이었다. 연구대상, 중재환경, 독립변인, 종속변인의 일반적 특성과 CEC(2014) 질적 지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증거기반실제 판별의 근거가 되는 독립변인의 효과 크기를 비중복비율(PND)를 사용하여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2010년 이후 교과중재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참여한 대상자 수는 총44명이며 그중 초등학생이 27명(64%), 남자 32명(72.7%), 경증 중간자폐 32명(73%)으로 나타났다. 중재효과가 큰 독립변인은 시각적 지원 적용 중재, 비연속 시행 훈련 적용중재, 비디오 모델링적용 중재, 시각적 지원과 직접교수를 함께 적용한 중재, 직접교수 중재, 컴퓨터 공학을 적용한 중재가 매우 효과적인 중재로 나타났다.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 결과, 분석대상논문의 80% 이상 충족을 보인 질적지표는 맥락과 환경, 연구참여자, 독립변인, 중재충실도, 내적타당도, 종속변인과 관련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지표의 80% 이상 충족한 연구는 16편으로 높은충족률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 적용시 증거기반실제에 근거한 중재전략과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 확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중재의 시사점과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ttemps to analyze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lated to school subject(reading, writing and math)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19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criteria.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CEC(2014) qualitative indicators. The effect size was also analyzed the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Evidence-Based Practice (EBP), and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Result: The very effect size PND was found bas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 being Visual supports(VS), Discrete trial training(DTT), Video modeling(VM), Direct instruction(DI), VS+DI and Technologyaided instruction and intervention(TAll). Quality indicators show that 80% of studies evaluated were experimental environments, participan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treatment integrity and internal validity. Additionally, 16 of 19 studies met more than 80% of the CEC quality indicators. Conclusion: These results address the need for mor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EBP to teach school subjects for students with ASD and should be emphasized using quality indicators for single subject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school subject with students with ASD was discuss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