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극동지역 해외기업의 활동 동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Analysis of the Activity Trends of Foreign Companies in the Far East of Russia after the Ukrainian War and Policy Implications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러시아학
- 제25호
- : KCI등재
- 2022.08
- 129 - 160 (32 pages)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서방 및 일본 기업의 대러 제재 참여 동향과 러시아에 대한 영향, 그리고 러시아의 대응조치, 러-중 간 협력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러 협력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국의 신정부에 대러 협력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4가지를 강조하였다. 첫째, 서방 및 일본 기업이 철수한 사업에 대한 우리 기업의 참여를 검토하고 틈새시장을 공략하여야 한다. 둘째, 제재 품목의 경우, 러시아와 직접적인 교역이 어려운 만큼, 중국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통한 우회 수출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제재와 관련이 없는 부문에서라도 러시아와 협력을 이른 시일 내 재개해야 한다. 넷째, 러시아 극동을 비롯한 현지 관련 기관 및 고위층과 인적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민간기업 및 지방정부 차원의 협력을 위한 소통 및 교류는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derived implications for Korea-Russia cooperation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participation of Western and Japanese companies in sanctions against Russia in the Russian Far East after Russia’s invasion of Ukraine, their impact on Russia, Russia’s countermeasures, and Russia-China cooperation cases. and proposed policy tasks for cooperation with Russia to the new government of Korea. Four policy implications were emphas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in the businesses that Western and Japanese companies have withdrawn and target niche markets. Second, in the case of sanctions items, since direct trade with Russia is difficult, bypass exports through China and Central Asian countr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cooperation with Russia should be resumed as soon as possible, even in areas not related to sanctions. Fourth, communication and exchange for cooperation at the level of private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continued while continuously managing human networks with local related organizations and high-level officials, including the Russian Far East.
Ⅰ. 서론
Ⅱ. 서방 및 일본 기업의 활동 동향과 특징: 제재 동참에 따른 협력 중단
Ⅲ. 중국 기업의 활동 동향과 특징: 러시아와 전방위 협력 강화
Ⅳ. 한-러 협력의 시사점과 정책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