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대한민국 국민의 국내 여행 비율은 지속해서 증가하였으며 여행트렌드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세대별 여행자들이 선호하는 여행 만족도 조사를 통해 세대별 맞춤형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여행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와 추천 의도의 선행요인으로써 여행 및 관광마케팅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의 국내 여행의 세대별 여행 만족도를 전반적 만족도와 구체적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연구원의 국민여행실태조사 2020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원자료는 국내 여행경험이 있는 1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패널들 50.710건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 만족도와 구체적 만족도에 응답하지 않았거나 경험을 해보지 못했다고 응답한 인원을 제외한 후, 자력으로 여행 가능성이 적은 19세 미만을 제외한 1,496건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 만족도는 성별과 세대별 이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만족도는 세대별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구체적 만족도에서는 쇼핑, 관광 안내 및 안내시설, 체험프로그램에서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체적 만족도의 항목 중 자연경관, 문화유산, 교통, 숙박, 관광지 편의시설, 관광종사자 친절성, 관광지 물가, 관광지 혼잡도는 세대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세대별 여행 만족도를 고려하여 여행 상품을 구성한다면 국내관광 산업을 보다 활성화하는 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corona pandemic, the domestic travel ratio of Korean citizens has increased continuously, and travel trends have changed accordingly. To further revitalize domestic tourism,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travel services for each generation by investigating tourist satisfaction. Travel satisfac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travel industry and tourism marketing, a leading factor in tourists'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In this regar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specific satisfaction levels of travel by generation for domestic travel among Korean citizens. In this study, we used the 2020 National Travel Survey data from the Institute of Culture and Tourism. The raw data consisted of 50,710 Korean national panels over the age of 15 who had traveled domestically. However, 1496 cases were analyzed by excluding both panels who did not respond to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specific satisfaction and panels under the age of 19 who are less likely to travel on their own. This study was analyzed by utilizing frequency analysi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by sex and generation for travel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did not differ by generation. Secondly, we found that there is a generational difference in specific satisfaction levels in shopping, touris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acilities, and experience programs. Third, among the specific satisfaction item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natural scenery, cultural heritage, transportation, lodging, convenience facilities in tourist spots, friendliness of tourism workers, price of tourist spots, and degree of congestion in tourist spots. It is expected that if travel products are designed with consideration for travel satisfaction by generation, it will become the basis for further revitalizing the domestic tourism industr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