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문화연구 제8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식민지조선의 징병제 실시와 종이연극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cription System in Colonial Joseon and the kamishibai: Based on the narrative and painting of the family register report

DOI : 10.18347/hufshis.2022.83.117
  • 99

본 논문에서는 중일전쟁 발발 이후 조선인 징병을 위한 호적 정비와 그 선전에 이용된 종이연극(紙芝居)을 고찰하였다. 새롭게 발굴된 조선계발협회의 1943년 작품 「오빠의 개선」과 「아버지 돌아오다」의 서사와 회화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이 작품들은 실생활과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있다. 호적 신고는 징병을 위한 것이지만 일제는 교육, 재산 상속, 생활물자배급 등 경제적 이해관계와도 긴밀한 영향 관계에 있음을 내세워 조선인의 신고를 독려했다. 실제 당시 전시 생활물자 배급을 위한 기본조사로 생각해 가족수를 늘려 신고하는 조선인들이 있었던 것을 고려한다면 재산상의 이익은 무시할 수 없는 이점이었을 것이다. 둘째, 종이연극 두 작품 모두 아버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일본의 이에(家) 제도에 있어 호주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통솔권한이 부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들에서는 아들과 딸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가장 큰 역할을 호주인 아버지가 맡고 있다. 이는 남성이 가진 “가장의 권한을 제한하기보다 오히려 보장해줌으로써 국민의 신체를 동원하는 징집의 정당성을 획득”해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호적 신고는 정당한 국민이 되고 국가의 보호를 받는 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조선인에게 징병은 피하고 싶은 착취이지만 일제는 병사가 되는 것이 진정한 일본인이자 사나이가 되는 것이며 그러한 의무를 수행할 때 국가에 보호받을 수 있음을 피력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병사 혹은 병사가 되고 싶은 아들이 등장하고 또 후방의 가족, 군인의 가족이 호적 신고와 같은 국가 정책에 가져야 할 자세를 다룸으로써 조선인의 병역 의무를 보여준다. 실화를 바탕으로 하거나 리얼리티가 있는 조선인 주인공의 등장은 당시 일제에 가장 필요한 스토리였고 조선인에게 요구한 롤 모델이기도 했다. 종이연극은 실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황국신민의 모습을 구현하여 제시해줌으로써 유형화할 수 없는 개인의 삶을 제국 일본의 ‘신민’으로 획일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use of kamishibai for propaganda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amily register to facilitate the draft of Koreans after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The examinations is based in particular on the narratives and paintings of the newly discovered 1943 works from the Joseon Development Association, Revolutionary of My Brother and Return of Father. First, these works emphasize the relationship with real life. Although the family register wa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the draft, the Japanese government encouraged Koreans to register, citing that the register wa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interests such as education, property inheritance, and distribution of daily necessity. Actually, considering that there were Koreans who reported increases i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regarding the register as a basic survey for the distribution of wartime daily necessities at the time, profits from property would have been an advantage that cannot be ignored. Second, the role of the father is emphasized in both examples of Kamishibai. It can be said that, in Japan's family system, the head of the family is given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family members. In these works, the father, the head of family,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uture of his son and daughter. It can be said that this ensured the legitimacy of the draft and facilitated physically mobilizing the people by guaranteeing rather than limiting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family. Third, the kamishibai works emphasizes that the draft is the way to become a legitimate citizen and be protected by the state. For Koreans, the draft was an exploitation they want to avoid, but the Japanese imperialisrs stated that by becoming a soldier, a person could become a true Japanese and a man, and that people would be protected by the state when performing military duties. Both works feature a soldier, or a son who wants to become a soldier, who demonstrates the duty of Koreans to serve in the military by demonstrating the attitude that the family of the soldier and the family of the son should have towards state policy, such as registering themselves in the family register. The appearance of a Korean protagonist who is based on a true story, or based in reality, was a very necessary storyline for Japan at the time and was also a role model requested by Koreans. These kamishibai works can be said to have standardized the life of individuals, who are not categorized as a “subjects” of imperial Japan but specifically embody and present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s in life.

Ⅰ. 머리말

Ⅱ. 징병제와 종이연극

Ⅲ. 조선계발협회 종이연극의 서사와 회화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