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日本硏究 第38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The Reflections of the Jiang·Tang Group (江·宕) in Sino-Japanese: The Distinctions between So’on and To’on Readings

  • 1

본고에서는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반영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宋音에서 開口2等 江韻은 -au형으로, 覺韻은 -a형으로 출현한다. 또한 唐音에서 江韻은 주로 -jaN형으로 나타나지만 脣音系는 -aN형으로, 舌齒音系는 주로 -juaN형으로 출현하며, 覺韻도 이에 병행하여 주로 -ja형으로 나타나지만 脣音系는 -a형으로, 舌齒音系는 주로 -jua형으로 출현한다. 이를 통해, 먼저 宋音의 母胎音에서 이미 入聲이 소실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宋音의 -a형에서 唐音의 -ja형으로의 변화를 통해, 宋代까지 秦音에서 이루어진 1·2等韻의 합류가 지속되고 있지만, 1等과 2等을 구별하는 방언이 남아 있었고, 1·2等韻이 합류한 언어그룹에서 그 2等韻이 ja로 대체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唐音에서 舌齒音이 -juaN형/-jua형으로 출현하는 것은 開口2等 江·覺韻이 唐音의 母胎音에서 合口로 변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開口1等 唐韻의 陽聲韻은 宋音에서는 -au형으로, 唐音에서는 주로 -aN형으로 출현하며 齒音系는 -uaN형으로 나타난다. [ツアン]을 チ·ツ의 破擦音化로 인해 [tuaŋ]으로 인식한 표기가 아니라 [ʦaŋ]으로 인식한 표기로 본다면 이 역시 -aN형으로 귀결된다. 入聲의 鐸韻은 宋音·唐音 모두 喉內入聲 k가 탈락한 -a형으로 나타나지만 唐音에서는 -o형이 혼재하고 있다. 이는 鐸韻 ɑk에서 入聲 k가 탈락한 것이 있지만 母音 u로 변해 ɑu로 변하고 이것이 o로 변한 것까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合口1等 唐韻은 宋音에서는 -wau형으로, 唐音에서는 -waN형으로 출현하며, 그 入聲인 鐸韻은 宋音·唐音 모두 -wa형으로 출현한다. 이처럼 宋音·唐音 모두 그 入聲韻도 主母音이 ɑ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現代音의 uo는 中古音 wɑk에서 入聲 k가 탈락한 近世音 wɑ에서 合口 w와의 동화로 인해 主母音 ɑ가 高位化하여 uo로 변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 宋音에서 開口3等 陽韻은 -jau형으로 출현하며, 藥韻은 入聲이 탈락하고 -ja형으로 출현한다. 唐音에서도 陽韻은 -jaN형으로, 藥韻은 -ja형으로 출현한다. 5) 宋音에서 合口3等 陽韻은 牙喉音이 주로 -jau형으로, 脣音字가 -au형으로 출현하는데, 入聲인 藥韻은 牙喉音이 -wa형으로, 脣音字가 -a형으로 출현한다. 唐音에서도 陽韻은 牙喉音은 주로 -jaN형으로, 脣音字는 -waN형·-aN형으로 출현하며, 藥韻은 牙喉音이 -ja형과 -wa형으로, 脣音字가 -wa형으로 출현한다. 宋音의 -jau형과 唐音의 -jaN형은 원음에서 合口性이 소멸된 것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 내의 合拗音의 소멸로 인한 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work of the Jiang·Tang Group (江·宕) in regard to Sino-Japanese So’on and To’on reading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The Grade II open rhyme Jiang (江) appears as an -au type and the rhyme Gak (覺) as an -a type in So’on. The rhyme Jiang (江) appears mainly as a -jaN type, whereas the labial system appears as an -aN type, the apico-dental appears as a -juaN type, and the rhyme Gak (覺) appears in parallel as a -ja type, while the labial appears as an -a type, and the apico-dental as a -jua type in To’on. 2) The Grade Ⅰ open rhyme Dang (唐) appears as an -au type in So’on and an -aN type and the dental as a -uaN type in To’on. If the [ツアン] notation is recognized as [tsaŋ] rather than as [tuaŋ] due to the affrication of チ·ツ, this also results in an -aN type. The rhyme Tak (鐸) of the entering appears as an -a type in which k is eliminated in both So’on and To’on, but the -o type is mixed in To’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ome entries in which /k/ has been eliminated from the rhyme Tak (鐸), but there are also some entries that have been changed to the vowels /u/ or /au/, or even to /o/. 3) The Grade Ⅰ rounded rhyme Dang (唐) appears as a -wau type in So’on and a -waN type in To’on, and Tak (鐸) appears as a -wa type in both So’on and To’on.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ending /k/ of both So’on and To’on is also the main vowel /ɑ/. In addition, the /uo/ of modern Chinese is an assimilation of the rounded /w/ in the Recent Chinese /wɑ/, where the ending /k/ in Ancient Chinese /wɑk/ is omitted. Because of that, the main vowel /ɑ/ has been highly ranked and should be considered as /uo/. 4) The Grade Ⅲ open rhyme Yang (陽) appears as a -jau type, and the rhyme Yak (藥) appears as a -ja type in which the ending /k/ is eliminated in So’on. The rhyme Yang (陽) appears as a -jaN type and the rhyme Yak (藥) as a -ja type in To’on. 5) The Grade Ⅲ rounded rhyme Yang (陽) appears mainly as a -jau and an -au type, and the rhyme Yak (藥) appears as a -wa and an -a type in So’on. The rhyme Yang (陽) appears mainly as a -jaN, -waN and -aN type, the rhyme Yak (藥) appears as a -ja and -wa type, and the labial appears as a -wa type in To’on. The -jau type of So’on and the -jaN type of To’on do not reflect the disappearance of /w/ in the original sound, but can be seen as accurate notations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sound /w/ in Japanese.

Ⅰ. 머리말

Ⅱ. 본론

Ⅲ. 마치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