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TBSS 기반 디저트 카페 메뉴의 푸드디자인속성과 소비자 감성,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저트 카페 메뉴의 푸드디자인속성의 하위항목을 형태지원성, 체험성, 상징성으로 구성하였고, 소비자 감성의 하위항목을 기능적 감성, 감성적 감성, 문화적 감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항목을 자기수용,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로 구성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TBSS 기반 디저트 카페 방문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2부의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드디자인 속성의 하위요인별 형태지원성, 체험성, 상징성은 소비자 감성의 하위요인별 기능적 감성, 감성적 감성, 문화적 감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푸드디자인 속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별 자기수용,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감성의 하위요인별 기능적 감성, 감성적 감성, 문화적 감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요인별 자기수용,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TBSS를 활용한 디저트 카페 메뉴와 소비자 감성, 심리적 행복감,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통해 TBSS를 통한 고객의 심리적인 영향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관점에서 TBSS 기술기반 서비스와 디저트 카페 메뉴와의 영향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디저트 카페는 TBSS 기술기반 서비스를 접목하여 언택트 시대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전략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TBSS에서의 디저트 카페 메뉴의 속성을 파악하고 소비자의 심리적 행복감에 맞춘 카페 메뉴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야 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design attributes of the TBSS-based dessert cafe menu, consumer sensibility, and psychological happiness.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orm supportability, experience, and symbolism of food design attribut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functional sensitivity, emotional sensitivity, and cultural sensitivity by sub-factor of consumer sensitiv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ood design attributes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each sub-factor of psychological happiness. Third, functional sensibility, emotional sensibility, and cultural sensibility for each sub-factor of consumer sensibility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self-acceptance, autonom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each sub-factor of psychological happines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