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가구 주민의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Isol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age differences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 8권 2호
- 2022.07
- 79 - 111 (33 pages)
본 연구는 1인가구가 과거와 달리 전 연령대의 사회적 문제로 확대됨에 따 라 이들의 사회적 고립감에 대응하기 위한 연령대별 차별화 전략 수립을 위 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해운대구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1인가구 4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연구 목적에 따라 단계적 회귀분 석을 통해 연령대 각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에서는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중장년층에서는 삶의 만족과 사 회참여활동, 디지털 리터러시가 유의하였고, 노인층에서는 연령, 혼자거주기 간, 삶의 만족, 디지털 리터러시가 유의하였다. 모든 세대에서 사회적 고립감 을 가장 크게 설명하는 변수는 삶의 만족이었고, 디지털 리터러시는 모든 대 상층에서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를 토대로 연령대별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need for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each age group to respond to their sense of social isolation as single-person households expanded to social problems of all age groups unlike in the past. To this end, the results of a survey of 419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and older residing in Haeundae-gu on factors affecting the feeling of isolation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s a result of examining this by generation,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young people.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in the middle-aged group, and age,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ere significant in the elderly. The variable that explains social isolation the most in all generations was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affect social isolation in all target groups. This study proves tha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can be different for each genera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strategies for resolving social isolation by each gener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