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일본역사연구 제5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찬성씨록과 고대 일본의 계보(系譜)와 계도(系圖)

Shinsenshojiroku and Geneology and Geneological Table in Ancient Japan

현재 전하고 있는 신찬성씨록은 초략본이기 때문에 그 전모를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대 일본의 계보와 계도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 결과, 고대 일본의 계보나 계도에서 확인되는 친족 개념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출자 집단 논리와 크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재 한국의 족보에서 볼 수 있는 부계 원칙을 고대 일본 사회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정치 수장의 직위를 승계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부자 관계가 아니라 광범위한 친인척이나 사위가 그 직위를 승계할 수 있었다. 신라의 경우 사위에게 왕위를 물려준 사례가 있다. 남해왕의 사위 탈해가 왕위에 올랐고, 미추도 점해왕의 사위였다. 또한 쇼토쿠태자와 다치바나를 중심으로 한 계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두 사람의 부모와 그 부모를 함께 기록하는 등 부계・모계 모두를 표기한 계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손들은 다시 부계 및 모계 가족 모두에게 자신이 각 집단의 구성원임을 주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모노노베노모리야(物部守屋)가 있다. 게다가 모리야의 직계 후손이 아닌 도쿄(道鏡)도 모리야를 통해 대신(大臣)의 지위에 오르려 했다. 이는 일본 고대의 우지(氏)가 현실적인 혈연관계를 반영하기보다는 강한 정치적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화기계도(和氣系圖)를 살펴보았다. 이 계보는 이나기노오비토(因支首)의 계보를 바탕으로, 먼저 이요와케노키미(伊豫別君) 등의 계보가, 마지막으로 일본서기 등에서 볼 수 있는 다케쿠니코리와케의 계보가 합쳐졌다. 따라서 계보의 경우 시조를 중심으로 한 정연한 혈연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관념적인 시조나 동일한 직장을 매개로 결합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지의 중요한 기능은 직위와 직능의 기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신찬성씨록의 내용을 연구할 때, 고대 일본 우지의 이러한 특징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잘 알려진 계보를 가상(加上)한 경우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remaining Shinsenyojiroku is a summary,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its full extent. As a way to supplement this, we looked a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genealogy and genealogical table in ancient Japan. As a result of this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genealogy and genealogical table in ancient Japan is very different from the descendant group logic that we commonly know.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paternal principle, which can be seen in the current genealogy of Korea, to ancient Japanese society. Representatively, even in the case of the succession of the political head's position, it was not necessary to have father-to-son relationships, but it was possible that a wide range of relatives or sons-in-law succeed the position. In the case of Silla, there are cases that the throne was handed down to the son-in-law. Talhae, King Namhae's son-in-law, ascended the throne, and Michu was also King Jeomhae's son-in-law. In addition, as seen in the genealogy centered on Prince Shotoku and Tachiban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was a classified genealogy that marked both paternal and maternal families, such as recording the parents of two people and their parents together. In this case, the descendants may again claim their affiliation to both the paternal and maternal families. A specific example is Mononobe Yugehi no Moriya. In addition, Doukyou, who is not a direct descendant of Moriya, also tried to rise to the post of prime minister through Moriya. This can be said that Uji is adjusted in a strong political intention rather than reflecting a realistic blood relationship. Finally, we looked at Wake's genalogical table. Based on Inaginoobito's genealogy, firstly the genealogy of Iyowakenokimi and others were joined, and finally the genealogy of Takekunikoriwake seen in Nihonsioki and others was join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genalogical table, it is believed that the genealogy of the clan, which was not completed with a neat genealogy centered on the origin, was often combined with the genealogy of the father, mother and the same job relationship. As such, Uji's important function was to show the origin of the position and function. Considering Shinsenshojiroku's record, it is essential to keep in mind these characteristics of ancient Japanese Uji.

Ⅰ. 머리말

Ⅱ. 계보의 형식과 특질

Ⅲ. 각종 사료에 나타나는 계보 의식

Ⅳ. 「화기계도(和氣系圖)」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