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코로나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s of Corona-Stress on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 590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9권4호.jpg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들이 대학생의 우울감에는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대학생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는 서울, 경기와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2년제 및 4년제 대학 재학생 223명을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와 SPSS 21.0 프로그램이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불안,사회적 거리두기,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의 스트레스 요인이 대학생의 우울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우울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한편 코로나스트레스로인한 우울감을 조절(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를비롯한 유사한 팬데믹 사태에서 대학생들의 우울감 경험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stress experienced by COVID-19 oncollege students' feelings of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s a way forrelieving their depression. For this study, data collected from 223 students from 2 and 4-yearcollege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SPSS 21.0 were used. As a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rona-stress factors, such as infection anxiety, socialdistancing, and anger towards others due to COVID-19, had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students' feelings of de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negative (-) effect onthe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hile relieving depression caused by corona stre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be interested in improvingself-efficacy as a way to increase resistance to depression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similar pandemic situations including COVID-19.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