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9권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smart phone addiction

본 연구는 정신건강, 학교적응,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계수와 이들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의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정신건강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스마트폰 중독이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438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스마트폰 중독, 학교적응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 스마트폰 중독, 학교적응의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과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공분산 구조분석을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정신건강, 스마트폰 중독, 학교적응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나타났으며, 정신건강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스마트폰 중독이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fin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mental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and verifies that mental health affectsschool adjustment and that smart phone addiction plays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Wecollected data that targeted mental health, smart 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438adolescents. We analyzed data with SPSS 18.0 and AM0S 20.0 programs, and verified the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estimated at .05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are as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variables of mental health, school adjustment,and smart phone addiction can be seen. Second, we analyzed the covariance structure ofwhether smart phone addiction plays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between ment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r not. And it is the proper structural model ofmental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smart phoneaddiction plays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school adjustment as we assumed in this study. Finally, we sugges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and follow-up study drawn from this study results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