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C Megadose 복용이 정적 및 동적 운동에서 근지구력과 근 피로에 미치는 영향
- 김동은(Dong-Eun Kim) 서강덕(Kang-Duk Seo) 이명호(Myeong-Ho Lee)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운동재활·복지
- 제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06
- 19 - 28 (10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비타민 C 보충제 복용량이 근육 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정적 및 동적 운동을 통해 근육 지구력의 변화를 측정했습니다. 연구 방법은 피험자들은 다음 세 그룹 중 하나로 몸값을 받았습니다. 실험군 Ⅰ(비타민 C : 100mg), 실험군 Ⅱ(비타민 C: 메가도스) 및 대조군(비타민 C 무보충제) 각 3회씩 정적 및 동적 운동을 실시하여 근육 피로 회복량을 측정 및 비교하였다. 정적 운동(스쿼트, 플랭크자세)은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최대 운동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동적운동(푸쉬업, 런지)은 정해진 시간(각 2분) 이내의 세트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군 Ⅰ과 Ⅱ는 측정 5주 전부터 비타민 C 보충제를 섭취하기 시작했다. 연구결과는 실험군 1과 실험군 2는 스태틱 스쿼트, 플랭크, 팔굽혀펴기에서 대조군 2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군 2는 실험군 1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비타민 C 보충은 근지구력 테스트에서 정적 스쿼트 자세와 플랭크 자세(정적 운동) 및 팔굽혀펴기(동적 운동)에서 유의한 성능 변화를 나타냈다. 특히, 메가도스 치료군이 근육피로 회복에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effects of vitamins C supplementation dosage on muscle fatigue recovery. To investigate this, the study meaured changes in muscle endurance through static and dynamic exercis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ransomized in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Ⅰ (vitamin C :100mg), Experimental group Ⅱ (vitamin C: megadose) and control(without vitamin C supplementation). Each group conducted static and dynamic exercises, each three times, to measure and compare the muscle fatigue recovery. For static exercise (static squat posture, plank posture),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the maximum exercise time while having the posture was maintained. For dynamic exercise (push-ups, lunge), the number of sets within the assigned time (each 2 minutes) was measured. Experimental group Ⅰ&Ⅱ started to consume vitamin C supplementation 5 weeks prior to the measurement. Results :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c squats, planks, and push-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2, and experimental group 2 was shown to be more effective than experimental group 1. Conclusion : Vitamin C supplementation indicated a significant performance change on the static squat posture and plank posture(static exercise) and push-ups (dynamic exercises,) as a muscle endurance tes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the megadose therapy demonstrated a better effect on recovery from muscle fatigu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