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발목운동과 목운동이 성인남성의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목적 : 이 연구는 발목과 목의 스트레칭이 성인남성의 허리 유연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 건강한 성인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Ⅰ(목운동)과 실험군Ⅱ(발목운동)에 각각 15명씩 무직위 선정을 통해 배치하였다. 발목운동은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족저굴곡, 내번 및 외번을 스트레칭 하였고, 목운동은 앞뒤, 좌우 4방향으로 스트레칭을 수행하였다. 연구는 2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해당 운동을 1일 1회, 주 3회 실시하였다. 목과 발목의 스트레칭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몸통 굴곡과 ROM 고관절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PS 20.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반복 측정 ANOVA를 사용하였다. 결과 : 두 집단 모두에서 전방굽힘과 엉덩관절 ROM의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목 운동과 발목 운동 모두 허리 유연성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척추의 대체 중재 운동으로 발목과 목의 스트레칭을 동작을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통해 직접적으로 허리를 강화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ankle and neck stretches affect changes in hip flexibility in adult men. Methode : Thirty healthy adult male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I (neck movement) and experimental group II (ankle movement) by 15 each through non-straightening selection. For ankle movement, the sole flexion, inner number and outer number were stretched using an elastic band, and for neck movement, stretching was performed in four directions, front and back and left and right.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two-week period, with the exercise once daily and three times a week. Torso flexion and ROM hip joints were measured to confirm the effect on neck and ankle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data collected used repeated measures ANOVA through the SPPS 20.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 Both populations showed improvement in anterior flexion and hip ROM,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 populations. Conclusion : Both neck and ankle movements help improve hip flexibility. Therefore, it is an alternative intervention exercise of the spine to present the movement of ankle and neck stretching,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directly strengthening the waist through thi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